민간사전청약 아파트 첫 사업취소…'사업성 악화'에 백기<br />[뉴스리뷰]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내년 입주를 예정했던 인천의 한 민간사전청약 아파트가 사업 취소를 결정했습니다.<br /><br />민간사전청약 아파트의 사업취소는 처음 있는 일인데요.<br /><br />지방에서 민간사전청약 아파트의 취소 사례가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<br /><br />조성흠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한 중견건설사의 계열사가 아파트를 짓기로 한 인천 가정2지구 부지.<br /><br />2022년 민간 사전청약도 진행했지만, 공사의 흔적은 발견하기 어렵습니다.<br /><br />해당 건설사는 최근, 사업 전면 취소를 결정했습니다.<br /><br />민간 사전청약 아파트 중 사업 자체가 취소된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.<br /><br />이곳 부지에 지어질 아파트는 지난해 3월 본청약, 내년말 입주를 진행할 예정이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사업 인허가가 지연되고 본청약 시기도 미뤄지는 등 문제가 생기면서 결국 사업 자체가 취소됐습니다.<br /><br />인허가 제한 사항이 많은데다 건설비와 프로젝트파이낸싱 비용 상승 등으로 사업성이 악화된 겁니다.<br /><br /> "본인들이 생각한 가격보다 많이 오를 수 있다 고지를 여러번 했었대요. 금방 안 될거다…시장 상황이 워낙 안 좋잖아요. 많은 분들이 이미 이탈하셨대요."<br /><br />사업 취소로 이달 말 사용한 청약통장 원상복구가 진행될 예정이지만, 아파트 입주를 기다리면서 다른 아파트의 취득 기회를 포기한 것에 대한 당첨자들의 불만이 나올 가능성도 충분합니다.<br /><br />민간 사전청약은 지난 정부에서 과열된 주택시장을 안정시키기 위해 도입됐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땅만 확보했지 인허가 절차가 전혀 담보되지 않아 분양일정은 연기돼왔고, 그 사이 부동산 시장까지 침체됐습니다.<br /><br /> "시장이 침체되면 민간사전청약의 실효성이 떨어질 수가 있습니다. 자금 마련이 여의치 않은데다 고금리에 건축비가 오른게 결정적인 원인이…"<br /><br />전문가들은 미분양이 많은 지방 사업장의 경우, 사업 취소 사례가 추가로 발생할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조성흠입니다. (makehmm@yna.co.kr)<br /><br />#사전청약 #사업취소 #인천_가정2지구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