시행 시기와 범위를 놓고 갈등을 빚던 '경기도형 버스 준공영제'가 본격 출범했습니다. <br /> <br />시내버스의 공적 관리가 대폭 강화되면서 경기도민들의 대중교통 이용 사정이 크게 개선될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최명신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경기도 시내버스는 업체의 누적 적자와 기사들의 열악한 처우 문제로 파업이 반복됐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10월에도 경기 침체 등을 이유로 경기도가 경기도형 준공영제 전면 시행 시기를 2027년으로 1년 늦추기로 하자 총파업 직전까지 가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김동연 경기지사의 중재로 파업 위기를 넘겼지만, 불씨는 여전했습니다. <br /> <br />경기도가 올해 '시내버스 공공관리제' 출범식을 열고 경기도형 준공영제를 본격 출범시켰습니다. <br /> <br />[김동연 / 경기도지사 : 이 같은 제도의 시행으로 도민들이 편하게 도민들의 발인 버스를 더 편하고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틀을 만들었다는 데에 대해서 가장 큰 의미를 부여합니다.] <br /> <br />경기도형 버스 준공영제는 매년 안전 관리를 제대로 했는지, 이용자 서비스를 개선했는지 등을 평가해 3년마다 계약을 갱신합니다. <br /> <br />평가에서 합격한 업체는 지원을 받지만, 탈락하면 자체 비용으로 노선을 운영해야 합니다. <br /> <br />[허상준 / 경기도 시내버스 업체 대표 : (공공관리제 시행으로) 양질의 기사들이 운행한다고 하면 사고도 굉장히 절감될 것이고, 이런 선순환으로 인해서 서비스도 굉장히 좋아진다고 볼 수가 있죠.] <br /> <br />제도 시행으로 버스 운행의 정시성이 확보되면서 도민들의 대중교통 이용 여건이 크게 개선될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또 임금 인상과 근로 시간 개선 등 기사들의 처우가 나아지면 안전사고 예방에도 도움이 될 거로 기대됩니다. <br /> <br />[강동훈 / 경기도 시내버스 기사 : 예전처럼 수익금 위주로 막 경쟁하는 식이 아니고 이제 승객들의 편의성, 안정성, 그런 것들 위주로 운행하는 방법으로 바뀌어서…] <br /> <br />경기도는 올해 시내버스 천200대를 대상으로 우선 시행한 뒤 2027년까지 도내 모든 버스로 확대할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YTN 최명신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최명신 (mschoe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40121044311039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