북한이 노골적인 협박성 발언을 하며 군사적 위기감을 고조시키는 가운데, 오는 4월 총선이 다가오면서 여러 대남 도발 가능성이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서해 북방한계선, NLL과 최전방 지역에서의 국지적 충돌 우려가 나오면서 군사적 긴장이 갈수록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최민기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과거 북한은 남측 선거를 앞두고 여러 차례 대남 도발을 일삼아 왔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2010년 6월 지방선거를 석 달 앞두고 천안함 폭침이 있었고, 2011년 4월 재보궐선거를 앞두고는 연평도 포격 도발을 벌였습니다. <br /> <br />2016년 총선을 앞둔 같은 해 1월엔 4차 핵실험을 감행했고, 지난 대선이 치러진 재작년 상반기에도 북한은 극초음속 미사일 발사 등 십여 차례 무력 도발을 하며 안보 불안을 키웠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따라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최근 전면에서 전쟁 위협 등을 거론하는 상황에서 총선을 겨냥한 도발 우려가 짙은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[임을출 /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 : 총선 전에 군사적 도발을 감행함으로 인해서 한국 사회 내에 대북 적대시 정책의 전환을 촉구하는 여론을 만들려고 하는 의도가 숨어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이 가운데 우발적 충돌 가능성이 크게 제기되는 곳은 서해 북방한계선, NLL 지역입니다. <br /> <br />서해는 북한이 새해 들어 가장 먼저 완충구역 내 해안포 사격을 재개했기도 하고, 과거 연평해전 등 국지적 충돌이 잦은 '한반도의 화약고' 같은 곳이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특히 김정은 위원장이 북방한계선을 콕 집어 인정하지 않겠다고 한 만큼 어떤 형태로든 도발을 벌일 가능성이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조선중앙TV (지난 16일) : 불법 무법의 북방한계선을 비롯한 그 어떤 경계선도 허용될 수 없으며 대한민국이 우리의 영토·영공·영해를 0.001㎜라도 침범한다면 그것은 곧 전쟁 도발로 간주 될 것입니다.] <br /> <br />또 북한이 9·19 합의 파기 선언 이후 GP 복원 움직임을 보이는 최전방 지역도 우리 군의 완충구역 무력화 선언 등을 빌미로 사격 도발을 할 가능성이 큰 곳이기도 합니다. <br /> <br />접경지역의 우발적 충돌 우려가 커지고 있지만, 이른바 '핑크폰'으로 불리는 유엔사의 대북 직통전화를 제외하고 남북 간 군 통신선은 모두 끊긴 상태입니다. <br /> <br />무력시위 등 직접적인 군사도발뿐만 아니라 가짜뉴스를 활용한 대남 심리전과 사이버전도 북한의 전형적인 선거전의 형태로 꼽힙니다. ... (중략)<br /><br />YTN 최민기 (choimk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40121221503429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