금융당국, 증권사에 부동산PF 부실 고강도 정리 주문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금융당국이 금융사들을 향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, PF 부실에 대한 철저한 대응을 다시 한 번 강조했습니다.<br /><br />부동산 PF 위기에 제대로 대비하지 않으면 책임을 묻겠다고 경고했는데요.<br /><br />박지운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, PF 부실 사업장 정리에 속도가 붙을 전망입니다.<br /><br />금융당국은 증권사 최고경영자들을 불러모은 자리에서 증권사들이 부동산 사업에 치중하고 있는 점에 우려를 표했습니다.<br /><br /> "여전히 위탁매매 그 다음에 부동산 중심의 영업 행태를 보이면서 종합 기업금융 서비스 제공 기관으로서의 기능은 미흡하다는 평가…."<br /><br />'부동산 PF 위기에 제대로 대비하라'고 엄포를 놓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부실 사업장은 신속하고 과감하게 정리하고, 예상 손실을 100% 인식해 충당금을 충분히 적립하라는 겁니다.<br /><br />또 위험을 모른척하고 남는 돈을 충당금이 아닌 배당이나 성과급으로 사용하지 말라고 경고했습니다.<br /><br /> "단기적인 이익 목표에 연연해 PF 예상 손실을 느슨하게 인식하는 잘못된 행태에 대해서는 엄중한 책임을 물겠습니다."<br /><br />이 원장은 "새 살이 돋으려면 굳은 살을 벗겨내야 한다"며, 건설사나 금융사에 일부 잡음이 생기는 일도 감수하고 고강도 정리를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태영 사태를 비롯해 부동산 PF 부실 문제가 국내 금융시장의 뇌관으로 지목되면서, 금융당국이 압박 수위를 높이는 모양새입니다.<br /><br />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국내 부동산PF 위험 노출액은 200조 원이 넘는 것으로 추정됐습니다.<br /><br />대출 잔액은 적지만 인허가 불확실성이 큰 '브릿지론'을 취급했던 증권업계와 제2금융권의 위험성이 높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금융당국은 지난해 말 결산이 끝나는 대로 금융회사의 충당금 적립 실태 등을 점검할 방침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박지운입니다. (zwoonie@yna.co.kr)<br /><br />#부동산PF부실 #금융감독원 #금융위원회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