"기간제 교사 구하기 어려워…교육청이 맡아야" <br />지방직 공무원들 "늘봄지원실 인력 대책 없어" <br />늘봄, 2026년 모든 학년 확대…전용 공간 부족<br /><br /> <br />아이들을 아침 7시부터 저녁 8시까지 돌봐주는 늘봄학교가 하반기 전국에서 시작됩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늘봄 확대에 가장 큰 반대였던 교원이 업무 부담을 덜 방법도 내놨는데, 이번엔 늘봄을 맡긴다는 지방직 공무원들이 반대하는 등 갈등이 계속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김현아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여성 경력 단절이 발생하는 대표적인 시기는 아이가 초등학교에 입학할 때입니다. <br /> <br />12시에 하교를 하니, 부모 퇴근까지 학원 뺑뺑이를 돌려야 하고, 이마저 어려우면 퇴직하는 겁니다. <br /> <br />[오은선 / 예비 학부모 : 경력단절을 막기 위해 육아휴직을 번갈아 쓰고, 영유아 때부터 어린이집을 보내며 유지했던 직장이었는데, 돌봄에 떨어질 줄은...' <br /> <br />때문에, 학부모들은 누구나 저녁 8시까지 아이를 맡길 수 있으면서 2시간 무료 예체능 수업에 방과후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간식과 저녁까지 주는 늘봄에 환호합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, 교원들은 난색입니다. <br /> <br />교원의 늘봄 업무를 대신할 기간제 교원을 구하는 일이 여전히 교원의 몫이고, <br /> <br />특히 지역 학교에서는 인력을 못 구해 교원이 대체 투입된 적도 빈번했던 만큼, 기간제 교사 구인부터 교육청이 책임져야 한다고 주장합니다. <br /> <br />[이미희 / 경북교사노조위원장 : 1차 2차 3차 수도 없이 공고를 올리고 서류를 받고, 그러다 결국 인력을 못 구하면 교사들이 몸으로 때우는….] <br /> <br />늘봄실장을 맡길 예정인 지방직공무원들도 원점 재검토를 요구하고 나섰습니다. <br /> <br />늘봄지원실을 학교마다 설치한다면서 인력 확보 대책은 없어서 증원 없이 업무 폭탄만 예상된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[전태영 / 전국공무원노조 교육청본부 사무차장 : 총액인건비제에 묶여 있어서 공무원을 증원하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거든요. 그건 정부가, 교육부가 더 잘 알 텐데 인력도 못 받고 그냥 고스란히 업무만 더 늘어나는 상황이 될 것 같습니다.] <br /> <br />공간 문제는 더 풀기 어렵습니다. <br /> <br />늘봄은 2026년엔 모든 학년까지 확대되는데 학생이 많은 도심 학교들은 남는 공간이 없습니다. <br /> <br />교육부가 1학년 교실을 늘봄 겸용으로 바꾸는 등 대책을 모색하고 있지만, 결국은 교실 활용이 불가피한데 교원단체들은 정규 수업과 준비가 어려워진다며 늘봄을 아예 학교 밖에... (중략)<br /><br />YTN 김현아 (kimhaha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40127003907584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