세계 최대규모 열대 우림인 아마존의 강줄기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말라붙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기상 관련 기구들은 무분별한 벌채와 지구온난화로 치명적인 가뭄 위험성이 10배나 높아졌다고 경고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신웅진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구의 허파로 불리는 아마존 유역의 지난해 10월 모습입니다. <br /> <br />물 위에 떠다녀야 할 수많은 배와 수상가옥이 여기저기 널려 있습니다. <br /> <br />예전에는 배를 타고 가던 곳이 사막처럼 변해버려 이제는 걸어서 다닙니다. <br /> <br />극심한 가뭄에 강물이 말랐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지금 상황도 별다르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수위가 낮아지면서 선박이 좌초하고 말았습니다. <br /> <br />[밴 클라크 / 그랜섬 기후연구소 연구원 :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극도로 적은 강수량 때문에 지난해 같은 가뭄이 발생할 가능성이 10배 더 높고, 덥고 건조해서 땅이 말라버릴 가능성이 30배 높습니다.] <br /> <br />브라질의 경우 지난해 1,161건의 기상 재해가 일어나 관측 이래 최다를 기록했습니다. <br /> <br />홍수와 산사태 같은 재난이 하루 평균 3건이나 발생한 것입니다. <br /> <br />이로 인해 132명이 숨지고 9천 명이 다쳤습니다. <br /> <br />브라질 남부에는 폭우가 북쪽에는 가뭄이라는 극단적인 재난이 되풀이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를 막기 위해서는 아마존 숲의 무분별한 벌채를 중단해야 한다고 원주민과 학자들은 입을 모읍니다. <br /> <br />[라오니 메툭티레 / 카야포 족장 : 숲을 다시 조성하는 것이 기후의 균형을 맞추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. 나무가 많아지면 우리 땅에 더위가 줄어들 것입니다.] <br /> <br />그러나 엘니뇨 등으로 올해 지구가 더 뜨거워지면서 산불 위험성까지 커져 아마존의 상황은 갈수록 나빠질 것이라는 우려가 지배적입니다. <br /> <br />YTN 신웅진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신웅진 (ujshin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40127035649088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