증권사 성과보수 체계 허점 투성이…PF 과열 책임론도<br />[뉴스리뷰]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 PF 시장이 과열되도록 불을 지핀 원인 중 하나로 꼽히는 증권사 성과보수 체계가 대부분 법규를 위반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.<br /><br />금융당국은 해당 증권사에 엄중한 책임을 물을 예정입니다.<br /><br />문형민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2021년 말부터 상승세를 보인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, PF 잔액과 연체율.<br /><br />2021년 4분기 112조원에서 2년도 지나지 않은 지난해 3분기 134조원으로 늘었습니다.<br /><br />연체율 상승 속도는 더 가파른데, 이 기간 0.4%에서 2.4%로 뛰었습니다.<br /><br />증권사의 경우 PF 연체율이 3.7%에서 13.9%로 급증하며, 금융사 가운데 연체율이 가장 높았습니다.<br /><br />많은 성과급을 챙겨가기 위해 PF 대출 경쟁을 벌인 결과라는 지적이 나옵니다.<br /><br /> "증권회사의 부동산PF 연체율(상승)을 가져온 가장 큰 원인이 성과급으로 인한 대출 경쟁이고, 또한 고금리가 연속이 되다보니까…"<br /><br />2019년부터 4년간 증권사가 부동산PF 담당 임직원에게 지급한 성과급은 8,510억원 수준.<br /><br />금융당국은 증권사의 부동산PF 성과보수 지급 실태를 점검하는 등 칼을 빼 들었습니다.<br /><br />그 결과, 상당수 증권사가 성과급 지급 과정에서 지배구조법규를 위반한 걸로 확인됐습니다.<br /><br />증권사가 임직원에 성과보수를 지급할 때 40% 이상을 최소 3년에 걸쳐 지급해야만 합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증권사가 이를 무시하고, 성과급 전액을 일시 지급하는 등의 문제가 발견된 겁니다.<br /><br /> "일부 회사의 리스크관리 실패로 인해 금융시장에 충격요인으로 작용할 경우엔 해당 증권사와 경영진에 대해 엄중하고 합당한 책임을…"<br /><br />증권사의 만연한 단기실적주의가 결국 부동산PF 부실화로 이어졌다는 지적도 나오는 만큼, 금융당국은 이러한 위반 사항에 대해 증권사에 엄중한 책임을 묻겠다는 방침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문형민입니다. (moonbro@yna.co.kr)<br /><br />#부동산PF #증권사 #성과보수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