눈덩이처럼 커지는 홍콩ELS 손실액…피해자들 강경 대응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홍콩H지수 주가연계증권, 이른바 '홍콩ELS' 확정 손실액이 지난달 이미 3천억원을 넘어섰는데요.<br /><br />가입자들은 금융사를 상대로 분쟁조정 신청에, 금융당국 대상으로 공익감사 청구에 나서는 등 갈등은 격화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문형민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홍콩ELS를 둘러싼 갈등이 깊어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가입자가 은행을 상대로 금융감독원에 '불완전판매 손해배상' 첫 분쟁조정을 신청한 겁니다.<br /><br />조정이 이뤄지지 않으면, 결국 소송 절차를 밟게 됩니다.<br /><br />가입자들은 금융당국 역시 정조준 했습니다.<br /><br />오는 15일, 금융감독원·금융위원회를 대상으로 감사원에 공익감사 청구에 나설 예정입니다.<br /><br /> "은행들만 잘못한 것처럼 얘기하고 있는데, 금융당국이 자기가 하겠다고 개선방안을 내놓은 것에 대해서 지켜지지 않은 점들 등등 해서…."<br /><br />지난 2019년 파생결합펀드, DLF 사태 당시 금융위는 '고위험상품 투자자 리스크 점검 회의' 정례화를, 금감원은 '미스터리 쇼핑'을 통한 고위험상품 모니터링 강화를 각각 약속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최근 3~4년간 '점검 회의'는 3번, 홍콩ELS '미스터리 쇼핑'은 단 1번만 실시됐습니다.<br /><br />이에 따라 금융당국도 불완전판매 사전 예방에 소홀했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려워 보입니다.<br /><br />금융당국은 오히려 금융사를 더 강하게 압박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 "(ELS 상품 판매 중단을) 상당 부분 저도 개인적으로 공감을 합니다. 이번에 검사 결과를 봐서 필요한 제도개선 사항을 하겠습니다."<br /><br />이에 NH농협은행, 하나은행, KB국민은행과 신한은행까지 ELS 판매 잠정 중단에 나섰습니다.<br /><br />한편, 홍콩ELS 확정 손실액은 지난달 이미 3천억원을 넘었고, 상반기 예상 손실액만 6조원 수준.<br /><br />이번 사태의 책임 소지를 두고 갈등이 지속되는 동안, 가입자들의 속은 타들어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문형민입니다. (moonbro@yna.co.kr)<br /><br />#홍콩ELS #금융사 #금융당국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