최근 미국에서 팝스타 테일러 스위프트의 '딥페이크' 음란물이 유통되는 등 AI를 활용한 범죄가 도를 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국내에서도 AI 콘텐츠에 대한 규제 논의를 시작했는데, 눈에 띄게 발전하는 기술의 속도를 따라잡으려면 갈 길이 멉니다. <br /> <br />차정윤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생성형 AI를 이용한 '딥페이크 기술'이 사이버 범죄의 핵심 도구가 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딥러닝(Deep learning)과 가짜(Fake)란 말의 합성어로, AI 기술을 기반으로 만들어낸 가짜 이미지, 오디오, 비디오 등을 의미 <br /> <br />미국 팝스타 테일러 스위프트의 얼굴이 음란 이미지에 악의적으로 합성돼 SNS상에 순식간에 퍼져나간 겁니다. <br /> <br />미국 백악관과 상원에서도 사태의 심각성을 우려하며 대책 마련에 나선 가운데, 국내에서도 본격적인 논의가 시작됐습니다. <br /> <br />우선, 콘텐츠 업계에서 가장 우려하는 부분은 저작권 침해입니다. <br /> <br />현재 국회 계류 중인 저작권법 개정안에는 AI의 자유로운 학습권을 보장하는 면책 규정이 있는데, 이를 허용하면 원작자 고유의 창작물 저작권이 침해될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. <br /> <br />[권혁주 / 웹툰작가협회장 : 우리의 그림이나 이런 걸 (AI가) 어떻게 학습하고 있는가 그 부분에 대해서 권리를 주장하고, 약간 감시할 필요가 있겠다.] <br /> <br />창작자 보호 취지로 AI를 활용한 콘텐츠에 별도 표기를 의무화하자는 법안도 발의된 상태입니다. <br /> <br />어느 범위까지, 어떤 방식으로 표기하게 할지가 과제인데 특히 적정한 제재 수단 없이는 무용지물이 될 거라는 의견도 제기됐습니다. <br /> <br />[김경화 /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산업정책과장 : 인공지능 개념을 더 명확히 해야 한다. 위반 시 제제 명시하는 부분, 어떤 콘텐츠에 대해 이 표시 의무를 할 것인가, 업계와 충분한 논의와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지 않겠냐 (라는 업계의 의견이 있었습니다.)] <br /> <br />산업계에서는 인공지능 기능을 도입한 IT 기술을 앞다퉈 출시하고 있는 가운데 <br /> <br />축복이냐 재앙이냐, 인공지능 규제를 둘러싼 해답은 쉽게 나오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YTN 차정윤입니다. <br /> <br />영상취재 : 이성모 <br />영상편집 : 신수정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차정윤 (jycha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6_20240205035933051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