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br /> 대통령실은 8일 의료계가 의대 증원에 반발하며 설 연휴 직후 총파업을 예고한 것과 관련해 집단행동 자제를 당부했다. <br /> <br /> 성태윤 정책실장은 이날 오후 용산 청사 브리핑에서 정부가 2025학년도부터 의대 입학정원을 2000명씩 늘리기로 한 것과 관련해 “고령화에 따른 의료수요 증가와 지역의료 개선 등 임상 수요만 감안한 것으로, 매우 보수적인 추계”라고 말했다. 성 실장은 “지역에서는 의사 부족이 더욱 심각하며 의료 시스템 붕괴는 지역 주민의 생명과 안전에 심각한 우려를 초래할 수 있다”며 “또 필수의료 분야의 과도한 근로 시간 및 번 아웃은 의사 부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”고 지적했다. 그러면서 “지금이라도 무너져가는 의료 체계를 바로잡고 미래를 준비하지 않으면 대한민국 미래가 없다”고 강조했다. <br /> <br /> <br />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기자들과 따로 만나 “의사들은 국민 생명과 건강 보호를 최우선 가치로 여긴다고 생각하기에 집단행동을 자제해줄 것이라 기대하고, 그렇게 요청한다”고 말했다. <br /> <br /> 그러면서도 의료계가 집단행동에 나설 경우, 의료법 제59조에 따른 업무개시명령 발동이나 면허 박탈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았다. 현재 정부는 의료진의 집단사직서 수리 금지 등을 지시한 상태다. <br /> <br /> 이 고위 관계자는 “중앙사고수습본부는 만에 하나 있을지 모를 의료공백 상황을 대비해 비상진료 대책을 수립했다”며 “지역별로 공백이 생겼을 때 인력이나 서비스가 멈추는 부분을 어떻게 대비할지 계획을 짜놓고 실행하는 태세를 준비하고 있다”고 설명했다. 이어 “업무개시명령이나 면허취소 같은 조치는 집단행동이 현실화하지 않았...<br /><br />기사 원문 : https://www.joongang.co.kr/article/25227815?cloc=dailymotion</a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