분양가 상한제가 적용되는 서울 강남권 아파트 단지가 오랜만에 청약 시장에 나와 큰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주변 단지보다 최소 수억 원이 저렴해 이른바 '로또 청약'이라 불리지만, 분양가가 워낙 비싸고 규제 지역이라 대출도 까다로워 현금 부자들이 몰리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윤해리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내년 6월 3천여 세대가 입주 예정인 아파트 견본 주택입니다. <br /> <br />서울 잠원역과 반포역을 사이에 낀 '더블 역세권'에 분양가 상한제로 묶인 서초구에서 2년 반 만에 풀리는 대단지 청약으로 관심이 뜨겁습니다. <br /> <br />[장정옥 / 서울 마곡동 : 현재 주변에 15년 됐거나 연식이 있는 아파트와 비교했을 때 신축이면서 그것보다 훨씬 저렴하니까 당첨되면 좋겠다 생각했죠.] <br /> <br />전용 면적 49㎡ 분양가가 15억 원에 달하지만, 주변 시세보다 적어도 몇억 원은 낮아 이른바 '로또 청약'으로 불립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전체 3천 세대 가운데 일반 분양 물량은 162가구에 불과하고, 이마저도 신혼부부나 생애 최초 특별공급에 지원하려면 까다로운 소득 기준을 충족해야 합니다. <br /> <br />[강유리·이근원 / 서울 사당동 : 일반적인 신혼부부, 맞벌이 부부라고 하면 충분히 넘을 수 있는 소득 기준이 많기 때문에 그렇게 되면 저희가 지원할 수 있는 게 많이 적어서 제한되니까 현실적으로 (소득 기준이) 반영되면 좋겠어요.] <br /> <br />투기과열지구로 묶여 대출받기도 어렵고, 당첨되면 3년 동안 집을 팔 수 없을뿐더러 2년 동안 실거주 의무도 충족해야 합니다. <br /> <br />당장 계약금만 분양가의 20%로, 결국, 소득은 낮지만 수억 원을 보유한 '현금부자'여야 한다는 계산이 나옵니다. <br /> <br />지난달 3.3㎡당 분양가가 1억 원이 넘는 포제스 한강 특별 공급에도 34가구 모집에 90명이 넘는 신청자가 몰리면서 예상 밖의 높은 경쟁률을 기록하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[고종완 / 한국자산관리연구원장 : 강남 등 일부 규제 지역의 경우 현금 부자만 큰 시세 차익을 거둘 수 있는 불합리한 시장 상황이 발생하고 있습니다. 따라서 입지나 분양가, 수요자에 따라 청약 제도를 개선할 필요가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정책적 배려가 필요한 무주택 서민들의 내 집 마련이라는 특별공급 취지가 퇴색되지 않도록 보완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 <br /> <br />YTN 윤해리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촬영기자: 고민철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윤해리 (yunhr0925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40212044908011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