가덕도 신공항 건설 눈앞…사라질 멸종위기 동·식물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지난해 말, 가덕도 신공항 건설사업 기본계획이 고시되면서 이르면 올해 연말부터 본격적인 공사가 시작될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신공항 건설 부지에는 다양한 멸종위기 동식물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는데, 보금자리를 잃거나 사라질 위기에 처했습니다.<br /><br />고휘훈 기자가 현장을 돌아봤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부산 가덕도 국수봉 일대에는 오래된 나무들이 자생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주변에 군사보호시설이 있어 일반인의 접근이 제한됐을 뿐만 아니라 이곳의 존재를 아는 사람은 주변 마을사람 정도입니다.<br /><br />사람들의 손길이 닿지 않아 자연 그대로 보존된 이곳, 단연 돋보이는 곳은 야생 동백숲입니다.<br /><br />한겨울임에도 푸른 잎사귀로 덮여있는 동백숲은 이제 막 꽃봉오리를 맺고 만개할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제 주변으로 울창한 나무숲이 조성된 것을 확인할 수가 있는데요.<br /><br />야생 동백 군락지로, 신공항부지 내에만 이러한 군락지가 3곳 정도 있는 것으로 파악됩니다.<br /><br />동백나무 수령은 50년에서 100년 정도까지 추정됩니다.<br /><br />전국에서 원시 상태로 가장 잘 보존된 것으로 손꼽히는 거제 지심도 동백 군락지와 견줘도 손색이 없을 정도라고 평가됩니다.<br /><br />그러나 가덕도 신공항 공사가 시작되면 이 아름다운 군락지는 사라지게 됩니다.<br /><br /> "부산시의 시목이 동백입니다. 시민의 정신이라고 할 수 있는 동백에 이렇게 무심할 수 있는가. 유일하게 부산에 있는 자연 군락지입니다."<br /><br />인근에는 해안이나 섬에서 주로 자라는 소사나무 군락지뿐만 아니라 수령이 100년은 넘고, 둘레가 4m가 넘는 고목들도 곳곳에서 발견됩니다.<br /><br />지난 2021년 가덕도 대항항 인근에서 목격된 천연기념물이자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인 수달의 모습입니다.<br /><br />서식지로 추정되는 인근 갯바위를 가봤더니 수달의 배설물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이 배설물의 경우 수달이 배설한 지 한 달이 채 안 된 것으로 보이는데요.<br /><br />일대에서만 수달 배설물 8개를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.<br /><br /> "배설의 경우에는 아무 데나 하지 않고 주로 자기가 이용하는 공간에서 배설하거든요. 대항항 내 2개 집단이 등대를 기준으로 크게 물의를 안 일으키면서 살아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됩니다."<br /><br />하늘에는 멸종위기종 솔개도 날아다닙니다.<br /><br />가덕신공항 환경영향평가서에 따르면 공사 부지 내에 있는 멸종위기종 등 '법정보호종' 동식물은 37종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고휘훈입니다.<br /><br />#가덕신공항 #멸종위기종 #동백숲군락지 #수달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