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00억 챙겨 짐 싼 클린스만 감독…최악의 1년 동행<br />[뉴스리뷰]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한 시대를 풍미한 스트라이커 출신 위르겐 클린스만 감독.<br /><br />이름값을 하지 못한 클린스만 감독은 1년 만에 짐을 쌌습니다.<br /><br />한국을 무시하는 태도를 보였다는 지적까지 나온 최악의 만남이었습니다.<br /><br />백길현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환한 미소로 한국 축구대표팀에 입성한 위르겐 클린스만 감독.<br /><br />첫날의 목표도 아시안컵 우승이었습니다.<br /><br /> "한국은 포르투갈은 물론 독일도 이기는 강팀입니다. 아시안컵 우승이 목표인 것은 당연합니다."<br /><br />세계적인 스타 플레이어였지만 지도자로선 번번이 낙제점을 받은 클린스만 감독의 선임은 시작부터 논란이었습니다.<br /><br />여론은 감독직을 수행하면서 악화했습니다.<br /><br />계약서상 한국에 체류하면서 감독직을 수행하도록 되어있었음에도 대부분 본 거주지인 미국에 머무른 것은 갈등의 불씨가 됐습니다.<br /><br />'근무 태만' 논란은 적극적인 선수발굴 의지가 없다는 지적으로 연결됐는데, 그때마다 클린스만 감독은 아시안컵 결과로 답하겠다 말했습니다.<br /><br /> "아시안컵이 기준점이 될 것입니다. 결과가 좋지 않으면 시험대에 오를 수밖에 없고, 이는 감독의 숙명입니다."<br /><br />결국 클린스만 감독이 강조한 아시안컵 결과는 4강에서 요르단에 참패하며 결승 진출 실패.<br /><br />성적은 물론 패배의 문턱에서도 환한 미소를 보인 클린스만 감독은 국민감정을 읽지 못한 태도로 도마 위에 올랐습니다.<br /><br /> "클린스만 감독은 감독으로서 경쟁력과 태도가 국민의 기대치와 정서에 미치지 못하였고 앞으로 개선되기 힘들다는 판단이 있어 2026년 북중미 월드컵 2차 예선에서 사령탑을 교체하기로 결정했습니다."<br /><br />논의를 종합한 결과 클린스만 능력과 태도 국민 정서 기대 못 미쳐 앞으로 개선하기 힘들어 마지막까지 아시안컵 졸전의 책임을 선수단에 떠넘긴 추태를 보인 클린스만 감독.<br /><br />100억원의 잔여 연봉을 챙긴 뒤 SNS로 남긴 작별 인사는 공허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 TV 백길현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