가야 고분군이 지난해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면서 가야사가 주목받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가야사 전문 박물관인 국립김해박물관에서는 유물을 통해 가야인의 삶을 엿볼 수 있다고 합니다. <br /> <br />임형준 기자가 소개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가야의 멋을 대표하는 금귀걸이와 목걸이입니다. <br /> <br />소박하고 수수해 보이지만, 섬세한 것이 세련미가 넘칩니다. <br /> <br />크기가 서로 다른 수정 146개로 조화롭게 만든 목걸이. <br /> <br />그 투명함에서 영롱함이 느껴집니다. <br /> <br />가야 민초의 삶은 질박했습니다. <br /> <br />보잘것없어 보이는 깨진 토기, 조개 껍데기들이 켜켜이 쌓여 그대로 역사가 됐습니다. <br /> <br />1998년 발굴된 김해 회현리 조개 더미 일부입니다. <br /> <br />깊이는 6m가 넘고, 모두 17개 층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. <br /> <br />조개류부터 토기, 동물 뼈 등이 있어 가야인들의 생활상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입니다. <br /> <br />'철의 왕국' 가야의 철기류도 관람객의 눈길을 사로잡습니다. <br /> <br />칼은 긴 세월에 녹슬었지만, 용과 봉황 장식의 섬세함은 그대로 살아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배층의 우월한 경제력과 사회적 영향력을 짐작하게 합니다. <br /> <br />[최은비 / 국립김해박물관 학예연구사 : 가야가 있던 지역에서는 철 생산이 매우 풍부했다는 기록이 있을 정도로 당시의 철기 생산이 매우 풍부하고 철기 제작 기술도 뛰어났던 것으로 추측하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가야는 '해상 왕국'으로 도약하려고 했습니다. <br /> <br />바다가 인접한 지리적 이점을 활용한 겁니다. <br /> <br />배를 타고 높은 파도를 헤치며 먼 바다로 나가 당시 왜와도 활발히 교류했습니다. <br /> <br />[최은비 / 국립김해박물관 학예연구사 : 가야는 철을 매개로 한 국제 교역을 중심으로 성장했던 나라입니다. ('배모양토기'는) 해상 활동을 원활하게 활발하게 했던 것을 추측할 수 있는 좋은 유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.] <br /> <br />가야사 특화 박물관인 국립김해박물관은 '세계유산 가야'라는 이름으로 10년 만에 상설 전시실을 새롭게 꾸몄습니다. <br /> <br />유물 3천7백여 점을 선보인 이번 전시는 가야의 흥망성쇠를 한눈에 볼 수 있어 가야사를 이해하는 장이 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임형준입니다. <br /> <br />VJ : 문재현 <br />화면제공 : 국립김해박물관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임형준 (chopinlhj06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40217223920550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