의대 증원에 반발하며 병원에 사직서를 낸 전공의들이 어제까지 6천4백 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오늘부터 의료 현장을 떠나면서 진료 차질이 불가피한 상황인데, 전공의 일을 떠안은 의사들 사이에서도 반발이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현장에 나가 있는 취재 기자 연결합니다. 김혜은 기자!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신촌 세브란스병원에 나와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지금까지 사직서를 낸 전공의들이 수천 명으로 집계가 됐는데, 세브란스병원은 진료 공백이 크겠군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이곳 세브란스병원에서는 평소에 하루 2백 건 정도씩 수술이 진행되는데요, <br /> <br />전공의들이 자리를 비우면서 수술 일정이 최대 절반 정도로 줄었습니다. <br /> <br />일주일에 천6백 건 정도씩 진행되는 수술 일정은 이달 말까지 이미 반 토막으로 조정됐습니다. <br /> <br />빅5 다른 병원들도 전공의들이 일손을 놓으면서 수술 날짜를 조정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복지부가 어젯밤까지 집계한 자료를 보면, 전국 수련병원에서 사직서를 낸 전공의들이 전체의 절반을 넘는 6천4백 명입니다. <br /> <br />사직서를 낸 전공의들 가운데 25%는 근무지를 떠난 것으로 확인됐는데, 세브란스병원과 성모병원 전공의들이 대부분인 것으로 파악됐습니다. <br /> <br />이런 가운데 전공의들 자리를 메울 임상강사나 전임의들 사이에서도 반발 기류가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80여 개 대학병원 임상강사와 전임의들은 정부 정책 변화 없이는 의업을 이어갈 수 없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진료 차질이 빚어지면서 환자 피해 사례도 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가 어제 가동한 피해신고 센터에는 34건이 접수됐고, 중증 수술이 취소된 피해가 대부분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의료 공백이 본격화하면서 환자들의 피해가 점점 늘어나는 점이 걱정입니다. 정부는 어떤 대책을 내놨습니까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정부는 우선, 이런 대형병원들을 중심으로 비상진료체계가 잘 운영되도록 보상을 강화합니다. <br /> <br />남아있는 의료 인력에 최대한 보상을 늘려서 의료 공백을 최소화하겠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우선, 응급의료행위나 응급의료 전문의들의 진찰료 수가를 인상하는 게 하나의 예입니다. <br /> <br />또, 증상이 상대적으로 심하지 않은 환자를 다른 병원으로 이송할 때 주는 수가도 올려서 대형병원 응급실의 진료 부담을 완화할 방침입니다. <br /> <br />입원환자들에 대한 정책지원금도 신설해서 환자를 진료하는 전문의들에게 추가적인 보상을 줍니... (중략)<br /><br />YTN 김혜은 (henism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40220135859126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