정부의 공공요금 동결 기조에도 공공서비스 물가 오름세가 연초에도 계속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상승 압력이 높았던 일부 지방자치단체의 시내버스와 도시철도 요금이 지난달부터 오른 데다 수가 조정에 따른 입원·외래진료비 인상까지 겹친 영향입니다. <br /> <br />취재기자 연결합니다. 오인석 기자! <br /> <br />자세한 내용 전해주시죠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통계청 국가통계 포털을 보면 1월 공공서비스 물가는 1년 전보다 2.2% 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2021년 10월 6.1% 오른 뒤 27개월 만에 가장 큰 폭의 상승세입니다. <br /> <br />정부와 지자체의 직간접적 관리를 받는 공공서비스 물가는 0∼1% 내외에서 소폭 등락하는 것이 일반적이란 점에서 이례적으로 높은 상승률입니다. <br /> <br />전달과 비교하면 1월 공공서비스 물가는 1.0% 상승했는데, 전체 소비자물가지수 상승 폭인 0.4%를 크게 웃도는 수준입니다. <br /> <br />시내버스와 도시철도 등 대중교통 요금과 외래·입원진료비 등 병원비가 1월 공공서비스 물가 상승세를 주도했습니다. <br /> <br />공공서비스를 구성하는 30개 항목의 1월 물가 상승 기여도를 보면 시내버스 요금이 가장 컸고 택시요금과 외래진료비, 도시철도료, 치과 진료비 등 순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대전 시내버스 요금은 1월 1일부터 천500원으로 250원 올랐고, 대구 시내버스·도시철도 요금도 1월 13일부터 천250원에서 천500원으로 인상됐습니다. <br /> <br />외래진료비는 1월 새로 적용되는 수가가 인상되면서 1년 전보다 2.0% 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입원진료비는 1.9% 오르며 7년 만에 가장 큰 폭의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1∼2% 내외 상승률을 기록한 하수도 요금은 1월 3.9% 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하수도 요금은 2021년 12월 4.4% 상승 이후 25개월 만에 가장 큰 상승 폭 입니다. <br /> <br />부산과 세종, 의정부, 고양 등 8개 지자체가 1월 일제히 하수도 요금을 올린 영향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물가 안정을 위해 상반기 공공요금 동결 기조 원칙을 강조하고 있지만, 원자잿값 인상 등 물가 상승 압력이 누적된 탓에 낙관할 수만은 없는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정부 관계자는 정부 협조 요청으로 지난해 하반기 인상을 미뤘던 공공요금이 일부 1월에 오른 것이라며 상반기 공공요금을 최대한 동결하거나 인상을 늦출 수 있도록 지자체에 협조를 요청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금까지 경제부에서 전해드렸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오인석 (insukoh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40226131634587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