서울 가지 않아도 공부·취업…49개 지자체 교육발전특구 지정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정부가 지역 특화 교육시스템을 구축해 지방 정주 여건과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 1차 지정 결과를 공개했습니다.<br /><br />49개 지자체가 선정됐는데요.<br /><br />공부를 하고 일자리를 얻기 위해 서울에 가지 않아도 되는 '지방시대'를 만들겠다는 생각입니다.<br /><br />김종성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 "지방 교육의 품질과 경쟁력을 획기적으로 높여 나갈 것입니다. 지역에서 양질의 교육을 받은 인재가 지역 발전에 기여하는…"<br /><br />지역소멸을 막을 대안 중 하나로 추진되는 교육발전특구 1차 시범사업에 3가지 유형에 걸쳐 경기 고양 등 21개 기초지자체, 부산 등 6개 광역지자체, 충남 아산 등 5개 광역지자체 내 22개 기초지자체를 포함, 총 6개 광역자치단체와 43개 기초자치단체가 선정됐습니다.<br /><br />교육발전특구에서는 늘봄학교를 비롯해 사교육비 완화 방안, 지역인재 육성을 위한 교육당국·학교·산업체 간 협력 사업도 시작됩니다.<br /><br /> "지역의 시설, 자원과 연계하는 거점형 늘봄학교를 만들고 학교 복합시설을 활용한 늘봄거점센터를 구축하며, 학교와 도서관, 방과후 교육시설을 연계하는 안심셔틀버스도 운영…"<br /><br />정부는 특구에 30억~100억 원의 특별교부금을 지원할 방침입니다.<br /><br />굳이 서울에 가지 않고도 좋은 교육을 받고 일자리를 얻을 수 있도록 자율형 공립고 지정부터 대학별 지역인재전형 확대도 추진됩니다.<br /><br />국제K팝 고교와 365열린시간제 보육센터가 생기는 부산처럼 지역별로 다양한 교육·돌봄 시설도 생깁니다.<br /><br />정부는 특구 관리를 위해 매년 평가를 진행하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 "19개의 선도지역과 12개의 관리지역으로 나누어 운영되며, 관리 지역은 매년 연차평가를 통해 보다 강화된 성과 관리 지원을…"<br /><br />정부는 이번에 지정되지 못한 9개 지역은 예비 지정으로 분류하고, 지적사항 보완시 5월 2차 공모 때 재평가를 할 방침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종성입니다. (goldbell@yna.co.kr)<br /><br />[영상취재 기자 박태범]<br /><br />#교육발전특구 #지방시대 #학교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