독립기념관이 대한민국 임시정부 시절 국제사회로부터 한국의 독립을 처음으로 인정받은 결의문 등 해외 독립운동 자료들을 공개했습니다. <br /> <br />공개된 자료에는 외교 활동을 통해 일제의 침탈 사실과 한국의 독립 당위성을 알리려는 노력이 고스란히 담겨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상곤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1919년 8월, 스위스 루체른 국제사회주의자대회에서 만장일치로 채택된 한국 독립 결의문입니다. <br /> <br />'의심의 여지가 없는 한국인들의 자기결정권에도 불구하고, 일본 정부의 잔혹한 권리 침해와 탄압에 항의한다.'고 적혀 있습니다. <br /> <br />임시정부 대표로 조소앙 선생과 이관용 선생을 국제회의가 열리는 현지에 파견해 이뤄낸 성과입니다. <br /> <br />이후 결의문 내용은 영국 노동당이 제작한 보고서에 실렸고, 한국 독립을 승인하는 결의안이 에스토니아 국회 등에서 통과됐습니다. <br /> <br />앞서 결의문 내용이 확인된 적은 있지만, 국내서 실물이 공개된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. <br /> <br />[김용진 /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연구원 : 국제회의에서 한국의 독립 승인 결의안을 최초로 승인받은 게 스위스 루체른이라고 보시면 되고요. 그동안 우리 독립운동사가 한국과 중국 쪽만 연구돼 있었는데 세계인들하고 같이 했다는 것을 알려주고 싶었습니다.] <br /> <br />독립기념관이 1910년대 국제사회 속에서 펼쳐졌던 외교 독립운동 자료 12점을 공개했습니다. <br /> <br />식민 지배의 부당함을 알리는 서한들과 파리평화회의에 보낸 독립청원서, 독립운동 자금 모집을 위해 작성된 공포문 등이 포함됐습니다. <br /> <br />미주 독립운동단체인 대한인 국민회로부터 대여받아 독립기념관이 소중하게 보관해오던 자료들입니다. <br /> <br />독립기념관은 이번에 공개한 자료들을 통해 국제 정세를 활용한 독립운동 상황을 살펴볼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어 독립을 위해 국제회의마다 대표를 파견했던 건 다른 나라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사례라며 제대로 된 평가가 필요하다고 덧붙였습니다. <br /> <br />[이명화 /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장 : 조국의 독립을 내가 달성해야 하겠다는 의무감이라든가 자존감 이런 것들은 아마 세계 독립운동사에 유례없는 것이라고 볼 수 있고요. 노력했던 역사는 우리가 좀 더 연구하고 알려야 할 것으로 생각합니다.] <br /> <br />독립기념관은 그동안 빛을 보지 못했던 외교 독립운동 자료를 시대별로 공개하고, 전시회 등을 통해 국민에게 선보일 예... (중략)<br /><br />YTN 이상곤 (sklee1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40301003126834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