"알리, 국내식품업체 신뢰도 통해 시장공략 의도" <br />식품업계, 대외 이미지 등 고려해 결론 못내 <br />글로벌 마케팅·수수료 혜택 두고 고심 <br />무관세 혜택에 사실상 별다른 법 규제 없어<br /><br /> <br />중국 이커머스 알리익스프레스가 한국상품 전용관을 만들어 식품 판매까지 영역을 확대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국내 대표 업체들도 입점을 검토하고 있는데 알리가 이를 발판으로 마케팅을 한층 공격적으로 하는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김선희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중국 이커머스 알리익스프레사가 설치한 한국 상품 전용관 'K베뉴'입니다. <br /> <br />이미 LG생활건강과 참존, 한국피앤지 등 유명 브랜드가 입점한 상태입니다. <br /> <br />최근에는 동원F&B가 입점을 추진하고 있고 삼양식품과 농심, 크라운해태 등도 검토하는 등 식품까지 범위를 넓히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중국 이커머스 애용자들도 식품 구매는 꺼리고 있는데 가공식품까지 확대하고 있는 겁니다. <br /> <br />[김일균 / 서울 대치동 : 식품에 대해서는 불안감이 있죠. 근데 공산품에 대해서는 사실 지금도 중국산 제품을 일상에서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.] <br /> <br />전문가들은 알리가 국내 식품업계의 신뢰와 인지도를 등에 업고 시장을 전방위적으로 넓히려는 속셈으로 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정연승 / 전 한국유통학회 회장 : 그 안에 판매하는 판매기업들에 대한 신뢰가 생기면 결국은 플랫폼 자체에 대한 신뢰로 전이가 된다고 봐야 되거든요. 전략적인 차원으로 알리 테무는 지금 진행되고 있다고 보는 것이 맞고요.] <br /> <br />다만 식품업계들도 대외 이미지와 국내 이커머스업계와의 관계를 고려해 당장 결정하지는 못하는 분위기입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이미 국경이 없어진 유통시장에서 글로벌 마케팅이 가능하고 수수료 혜택까지 주는 중국 이커머스를 마냥 무시하기도 힘든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[서용구 / 숙명여대 경영학과 교수 : 초고속 초저가 커머스 인프라는 가진 적이 없기 때문에 역사상. 중국기업이지만 그 유통망에 입점해서 많이 팔릴 수 있는 제품을 개발해야겠죠] <br /> <br />문제는 중국 이커머스의 시장 점유 속도입니다. <br /> <br />알리는 1년 만에 이용자가 두 배 이상 급증해 717만 명을 기록했고, 테무는 현재 570만 명으로 6개월 만에 무려 11배가 늘었습니다. <br /> <br />150달러 이하 제품은 무관세 혜택을 받고 있는데 KC인증 마크도 제대로 지키지 않고 불법광고도 하고 있지만 제재할 방법이 없습니다.... (중략)<br /><br />YTN 김선희 (sunny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40301053041283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