선사시대부터 신라 시대까지 생활상이 담겨,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가 추진되고 있는 울주 천전리 '각석'의 명칭이 51년 만에 바뀝니다. <br /> <br />역시 세계유산 등재가 신청된 '반구천의 암각화'는 완성도 검토에서 통과될 경우 이르면 올해 상반기에 현장 실사가 시작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JCN 울산중앙방송 구현희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반구대 암각화와 함께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가 추진 중인 '울주 천전리 각석'의 명칭이 '울주 천전리 명문과 암각화'로 바뀝니다. <br /> <br />'천전리 각석'은 너비 9.5m 높이 2.7m 크기의 바위 면에 각종 도형과 글, 그림이 새겨졌고, 그림 외에도 당시 왕과 왕비가 다녀간 걸 기념하는 내용의 글이 남아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1973년 국보 지정 당시엔 '암각화'보다는 제작 시기와 내용이 명확한 신라시대 '명문'이 학술적으로 더 높게 평가받으면서 '각석'이란 명칭이 붙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선사시대부터 신라시대까지의 생활상을 모두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, '각석'보다는 포괄적이고 보편적인 명칭의 '암각화'가 더 적절하단 의견이 제기돼왔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지난해 울주군이 울산시에 명칭 변경을 신청했고, 울산시도 '울주 천전리 암각화'로 명칭을 변경해달라고 문화재청에 신청했습니다. <br /> <br />문화재청 문화재위원회는 두 차례 검토 끝에 '울주 천전리 명문과 암각화'로 이름을 정하고 명칭 변경을 최종 승인했습니다. <br /> <br />국내 암각화 유적 중 암각화로 불리지 않는 건 천전리 각석이 유일했는데 국보로 지정된 지 51년 만에 암각화로 명칭이 바뀌게 됐습니다. <br /> <br />현재 '반구천의 암각화'란 명칭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가 추진 중인 것도 명칭 변경에 영향을 미쳤습니다. <br /> <br />[김두겸 / 울산시장 :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와 유사한 '천전리 명문과 암각화'로 이름을 변경하는 것이 '반구천의 암각화'의 특징을 더 정확하고 대중적으로 알리는데 크게 도움이 된다고 판단했습니다.] <br /> <br />한편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절차를 밟고 있는 '반구천의 암각화'는 다음 달 초 등재 신청서에 대한 완성도 검토 결과가 나옵니다. <br /> <br />통과할 경우 이르면 올해 상반기 중에 유네스코 자문기구의 현장실사가 시작될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[고경수 / 반구천암각화세계유산추진단장 : 그림들, 새겨진 것들 이런 것들도 이제 눈여겨볼 수 있는 그림의 탁월성이라든지 창의성이라든지 이런 게 더 반영이 되는 거죠.] <br />... (중략)<br /><br />YTN 구현희 jcn (yhk555222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40301132649567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