산업 판도 바꾸는 AI 시장…한국 'HBM' 주목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글로벌 산업혁신 패러다임이 인공지능, AI로 빠르게 넘어가면서 AI 기술 구현에 필요한 반도체, 일명 'AI 반도체'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데요.<br /><br />반도체 강국인 우리나라에 새로운 기회가 열릴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김종력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챗GPT가 촉발한 생성형 인공지능 AI 시대.<br /><br />내로라하는 글로벌 테크기업 뿐만 아니라 일반 제조업 기업들까지 뛰어들면서 AI 시장은 급속도로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지난해 398억달러, 약 53조원이었던 생성형 AI 시장 규모는 2032년 1조3,036억달러, 약 1,741조원으로 30배 이상 성장할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이러한 AI 시장의 확대와 함께 주목받는 게 바로 AI 기능 구현에 필요한 반도체, 일명 'AI 반도체' 입니다.<br /><br />쉽게 말해 고사양 반도체라고 할 수 있는데 엔비디아의 그래픽처리장치 GPU에 들어가는 고대역폭 메모리 HBM이 대표적입니다.<br /><br />그런데 엔비디아의 독점 체제에서 벗어나기 위해 글로벌 테크 기업들이 독자적인 AI 인프라 구축에 나서면서 우리 반도체 업계에도 새로운 기회가 열릴 전망입니다.<br /><br />최근 오픈AI의 샘 알트먼 CEO, 메타의 저커버그 CEO가 직접 한국을 찾아 HBM 강자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을 만난 이유입니다.<br /><br /> "현재 우리나라 팹리스나 파운드리 기업들이 약진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기업들과 세계 수요 기업들이 손을 잡아 새로운 반도체를 개발하게 된다면 우리 기업이 크게 성장할 수 있는 기회가…"<br /><br />물론 시장의 변화에 빠르게 대응하지 못한다면 우리 반도체 업계에 위기가 올 수도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종력입니다.<br /><br />#AI #반도체 #삼성전자 #SK하이닉스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