프로야구 5월부터 유료…구단은 반색·팬들은 갑론을박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인터넷과 스마트폰에서 공짜로 볼 수 있던 프로야구, 올 시즌부터는 돈 내고 봐야 합니다.<br /><br />구단들의 표정은 밝은 반면, 팬들 사이에서는 불만과 예상했던 수순이라는 반응이 엇갈리고 있는데요.<br /><br />여러분은 어떠신가요.<br /><br />박수주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지난 5년간 네이버 등 포털 사이트에서 무료로 보던 프로야구.<br /><br />올해부터 2026년까지는 돈을 내야 볼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한국야구위원회, KBO가 CJ ENM과 유무선 중계 계약을 맺었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계약 규모 1,350억원. 연평균 액수로 기존 계약의 두 배가 넘는, 국내 프로스포츠 사상 최대 규모입니다.<br /><br />TV가 아닌 인터넷, 스마트폰 등으로 야구를 보던 팬들은 이제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(OTT), '티빙'에서 최소 월 5,500원을 내고 생중계를 봐야 합니다.<br /><br />비회원은 물론이고, 네이버와 KT 등 제휴사를 통해 가입한 기존 티빙 회원들도 추가 요금을 낼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KBO와 10개 구단은 유료화를 환영하는 분위기입니다.<br /><br />각 구단이 받는 연간 중계권료가 99억원으로 30%나 늘어난 데다, 그동안 금지됐던 유튜브와 SNS에서의 경기 영상 2차 가공도 가능해졌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수년간 무료로 보던 경기를 보기 위해 새로 지갑을 열어야 하는 팬들은 탐탁지 않을 수밖에 없습니다.<br /><br />기대를 모았던 일반 팬들의 영상 2차 가공을 40초 미만 짧은 동영상인 '쇼츠'로 제한한 점도 불만을 사고 있는데, 티빙은 구체적인 기준을 "오는 12일 설명회를 통해 답하겠다"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적자에 시달리는 티빙이 향후 요금을 인상할 여지도 있습니다.<br /><br />티빙은 지난해 말 신규 가입자 요금을 20% 넘게 대폭 인상한 바 있습니다.<br /><br />반대로, OTT 앱 가입자가 3천만명을 넘어서는 등 상당히 보편화된 만큼 거부감이 크지 않다는 반응도 있습니다.<br /><br />새로운 유료화 시대에 걸맞은 서비스를 보여줄지 관심이 쏠리는 가운데, 티빙은 무료 이벤트가 끝나는 5월부터 요금을 부과합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박수주입니다. (sooju@yna.co.kr)<br /><br />#프로야구 #유료 #티빙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