바이든 "'안보 우려' 중국 스마트카 조사"…중국, 거센 반발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최근 미국 정부가 해킹 위협 등을 거론하며 중국산 스마트 차량에 대한 조사에 착수했습니다.<br /><br />중국 정부는 우려를 표명하면서 강력한 조처를 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.<br /><br />미중 간 무역분쟁의 전선이 '스마트카'로도 확대될지 주목됩니다.<br /><br />보도에 임민형 PD입니다.<br /><br />[리포터]<br /><br />지난해 4분기 미국 업체 테슬라를 제치고 세계 전기차 판매량 1위에 오른 중국 전기차 업체 비야디.<br /><br />세계 시장 확장 전략에 따라 해외 공장 건설을 잇달아 추진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비야디는 멕시코공장에 대한 타당성 조사에도 착수했습니다.<br /><br />멕시코는 세계 주요 완성차업체들이 포진해 있어 비야디의 미국 수출 거점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.<br /><br />이처럼 중국 업체가 미국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내는 가운데 조 바이든 대통령은 중국산 커넥티드 차량의 미국 시장 진출을 막을 조치를 마련할 것을 지시했습니다.<br /><br />바이든 대통령은 중국 같은 우려국가의 기술을 사용한 커넥티드 차량을 조사하고 위험에 대응할 행동을 취하라고 지시했습니다.<br /><br />커넥티드 차량은 무선 네트워크로 주변과 정보를 주고받으며 내비게이션, 자율주행, 운전자보조시스템 등 기능을 제공하는 '스마트카'로, 요즘 판매되는 차량 대부분에 이 기능이 장착돼 있습니다.<br /><br />이번 지시에 따라 미 상무부는 중국산 커넥티드 차량의 위험과 관련해 60일간 산업계와 대중의 의견을 청취하는 등 조사에 착수했습니다.<br /><br />중국 정부는 강력하게 반발했습니다.<br /><br /> "경제·무역 문제를 정치화하는 이러한 행위는 미국 자동차 산업의 발전을 저해할 뿐입니다."<br /><br />중국 상무부도 미국이 국가안보를 핑계로 중국 자동차의 수출을 방해하고 있다며 강력한 조처로 중국의 정당한 권익을 단호히 수호할 것"이라고 경고했습니다.<br /><br />바이든 대통령은 이번 조사를 두고 국가안보 우려를 내세웠지만, 미중 간 또 다른 '무역전쟁'이란 분석과 대선에 중요한 자동차 산업 노동자의 표심을 고려한 조치란 해석도 나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임민형입니다. (nhm3115@yna.co.kr)<br /><br />#미중 #스마트카 #커넥티드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