지난해부터 이상 기후 이어지며 과일 가격 폭등 <br />이상 저온·집중 호우에 탄저병 겹쳐 작황 부진 <br />사과값 급등하자 대체재인 귤 가격도 78% 올라 <br />과일값 32년 만에 최대 폭등·채소 가격도 올라<br /><br /> <br />과일 가격이 32년 만에 최대 수준으로 치솟으면서 주무부처인 농식품부는 전방위 대책 마련에 나섰습니다. <br /> <br />납품단가 지원과 할인지원에 434억 원을 투입해 가격을 끌어내리고, 수입 과일 공급도 늘리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홍상희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과일 가격 폭등 원인은 지난해부터 이어진 이상 기후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봄 이상 저온과 여름철 집중 호우, 가을엔 고온으로 탄저병까지 겹치면서 작황이 좋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달 사과값이 71% 급등하자 대체재인 귤 가격이 78%, 배 가격도 60% 이상 올랐고, 설 연휴로 수요까지 늘었습니다. <br /> <br />과일 물가상승률이 32년 만에 최고치를 갈아치우고 배추와 대파 등 신선 채소 가격까지 꿈틀대자 정부가 전방위 대응에 나섰습니다. <br /> <br />농식품부는 먼저 과일과 채소의 납품단가를 지원해 판매가격 인하를 유도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[송미령 /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: 사과·대파 등 13개 품목에 대한 납품단가 지원을 위해 예산을 당초 15억 원에서 204억 원으로 대폭 확대해 유통업체의 판매가격에 직접 연동되도록 하겠습니다.] <br /> <br />할인지원에도 다음 달까지 230억 원을 투입해 가격이 30% 이상 오른 과일과 채소의 경우 최대 40% 할인해 판매하도록 할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수입 과일의 공급도 늘립니다. <br /> <br />농수산식품유통공사가 오렌지와 바나나를 직수입해 저렴하게 공급하고, 만다린과 두리안, 파인애플주스의 관세도 대폭 인하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대두유와 소맥 등 원재료 가격 하락에 따른 가공식품의 가격 인하 필요성도 에둘러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[송미령 /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: 국민의 체감도가 높은 가공식품 물가 안정을 위해서는 식품기업의 협조가 절실히 필요합니다. 국제 원재료 가격 하락분이 식품 가격에 반영될 수 있는 방안을 함께 강구해 나갈 계획입니다.] <br /> <br />농식품부는 비상수급안정대책반을 가동해 물가 불안에 대응한다는 입장이지만, 고물가의 원인이 공급 부족에 있는 만큼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홍상희입니다. <br /> <br />촬영기자 : 장명호 <br />영상편집 : 박정란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홍상희 (san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40306182133389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