지난달, 미국의 민간 착륙선이 달 착륙에까지 성공하면서 위성, 발사체에 이어 착륙선까지 모두 민간 주도로 옮겨간 진정한 의미의 '뉴스페이스' 시대가 열렸는데요. <br /> <br />국내에서도 기술력을 바탕으로 제2의 스페이스X를 꿈꾸며 우주 시장에 뛰어든 민간 기업들이 있습니다. <br /> <br />양훼영 기자가 소개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 5일 오전 7시, 스페이스X 팰컨9 로켓이 우주로 올라갑니다. <br /> <br />이번 팰컨9 로켓에는 초소형 위성 53개가 실렸는데, 국내 우주 스타트업 1호 상장 기업인 컨텍의 첫 번째 위성 '오름샛'도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가로 세로 24cm, 높이 50cm 크기의 초소형 위성인 오름샛은 사출 15분 만에 첫 교신에 성공했습니다. <br /> <br />오름샛은 앞으로 두 달 동안의 테스트를 거친 뒤, 500km 궤도에서 지구를 약 90분에 한 번씩 돌며 다양한 파장의 영상 자료를 수집할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[최기환 / 컨텍 우주기술개발실장 : 총 4개월 뒤부터 실질적인 서비스 운용에 들어가게 되고 오름샛으로 촬영한 영상을 바탕으로 영상 활용 서비스, 영상 배포 등의 다양한 사업들을 진행할 예정입니다.] <br /> <br />직사각형으로 튀어나온 부산항 부두, 야자수 형상의 아랍에미리트 두바이, 그리고 링 모양의 미국 애플 사옥까지 <br /> <br />지난해 말 발사된 초소형위성 '옵저버1A'가 촬영한 위성 사진입니다. <br /> <br />나라스페이스가 자체개발한 25kg급 큐브위성인데, 지구 관측 위성을 직접 개발하고 영상 수신에 분석까지 성공한 건 세계 최초입니다. <br /> <br />올해 상반기 중으로 쌍둥이 위성 옵저버 1B호도 발사할 예정이며, 앞으로 5년 안에 초소형 위성을 군집으로 운용해 세계 주요 도시에 대한 실시간 분석자료를 제공한다는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원통 모양의 소형 기체가 수직으로 올라갑니다. <br /> <br />고도 100m에서 정지 비행을 하고, 정해진 위치에 수직 착륙까지 성공합니다. <br /> <br />페리지에어로스페이스가 개발한 시험 기체 '블루웨일 0.3'으로, 이번 시험으로 재사용로켓 기술 확보의 한 걸음 다가섰습니다. <br /> <br />페리지는 액체 메탄 엔진 기술을 바탕으로 소형 발사체를 독자 개발 중인데, 오는 5월 제주도 서쪽 해상에서 고도 100km까지 올라가는 준궤도 시험발사체를 발사할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[심수연 / 페리지에어로스페이스 부사장 : 각 요소 기술에 대해서 지상에서 할 수 있는 검증은 다 마쳤다, 그것을 실제로 요소 기술들을 모아서 실제 발사하는 시험을 저희가 상반기에 ... (중략)<br /><br />YTN 양훼영 (hwe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5_20240310032804262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