치솟는 물가…정부, 식품업계에 물가안정 협조 요청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요즘 10만 원 넘게 장을 봐도 담긴 물건이 별로 없을 정도로 장바구니 물가 비상입니다.<br /><br />정부와 소비자단체는 국제 원자재 가격 하락이 소비자 가격 인하로 이어져야 한다며 목소리를 높이고 있는데 얼마나 얘기가 통할지는 미지수입니다.<br /><br />서형석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정부가 CJ제일제당과 오뚜기, 농심 등 19개 국내 주요 식품업체를 한 데 불러 모았습니다.<br /><br />식품 물가 안정 협조를 요청하기 위해서입니다.<br /><br /> "원자재 가격 상승기에 인상된 식품 가격이 주요 곡물·유지류 가격 하락에도 불구하고 지속 유지되는 것에 대해 기업의 과도한 이윤 추구…."<br /><br />코로나19와 우크라이나 전쟁을 거치며 널뛴 원자잿값 상승 속 식품, 생필품 업체들은 1년에 평균 2번씩 가격을 인상했습니다.<br /><br />한꺼번에 가격을 올리기보다 인상 빈도를 늘려 대응한 겁니다.<br /><br />반면 세계식량가격 지수는 2022년 3월을 고점으로 하향 안정화 추세를 보이고, 가공식품과 외식 물가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밀가루와 식용유 원재료 값도 하락세가 뚜렷합니다.<br /><br />그런데도 내려갈 생각 없는 가격표에 기업의 탐욕이 물가를 끌어올린다는 비판이 끊이지 않습니다.<br /><br /> "(밀가루, 식용유) 원재료가 대폭 하락을 했는데 소비자가는 지금 연평균 8% 정도 상승률을 나타내고 있습니다. 밀가루와 식용유 등 물가가 내려야 소비자 식비 부담도 좀 완화…."<br /><br />식품업체들은 반박합니다.<br /><br />오히려 그간 정부의 요청 등으로 충분한 가격 인상을 못했기 때문에 가격 인하 보다 인상 요인이 더 누적되고 있다는 얘기입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지난해 코스피 상장 식품기업 37곳 중 23곳은 영업이익률이 전년보다 개선됐다는 성적표는 소비자들의 의아함만 키우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서형석입니다. (codealpha@yna.co.kr)<br /><br />[영상취재기자 장동우]<br /><br />#그리드플레이션 #곡물값 #밀가루 #식용유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