소리 없이 떠난 '어재연 수자기'…반환 가능할까?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조선시대 최고 지휘관이 사용하며 국기 역할을 대신했던 '수자기'는 전부 소실돼 이제는 딱 하나밖에 남아있지 않습니다.<br /><br />신미양요 때 미국 해군과 싸우다 전사한 어재영 장군의 수자기인데요.<br /><br />그런데 10년 넘게 국내 박물관에서 보관 중이던 이 수자기가 다시 미국으로 돌아갔습니다.<br /><br />한웅희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가로, 세로 4m가 넘는 거대한 삼베천.<br /><br />조선시대 군영 최고 지휘관만 썼던 군기 '수자기'입니다.<br /><br />신미양요 당시 미군과 맞선 어재연 장군의 수자기로, 가운데는 전투를 지휘하는 장수를 뜻하는 한자 '수'가 적혀 있습니다.<br /><br /> "어재연 장군 수자기는 현존하는 유일한 수자기입니다. 하지만 지금 보시는 건 복제품인데요. 이곳 강화전쟁박물관에서 10년 넘게 갖고 있던 진품은 최근 미국으로 돌아갔습니다."<br /><br />1871년 강화도 광성보 전투에서 미군에 빼앗긴 수자기.<br /><br />소유권을 갖고 있는 미군은 전리품이라는 이유로 반환을 거부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우여곡절 끝에 2007년 '장기 대여' 형태로 돌아왔지만, 미 해군의 반환 요청으로 지난 12일 다시 미국으로 떠났습니다.<br /><br />미 해군사관학교 박물관은 내년부터 3년간 진행되는 '동아시아 특별전'에 어재연 장군 수자기를 전시할 예정입니다.<br /><br />언제 다시 돌아올 수 있을지 모르는 상황에서 별다른 행사 없이 조용히 이관 절차를 밟았습니다.<br /><br />태극기가 없던 과거 국기 역할을 대신하기도 했던 수자기는 전쟁사를 기억할 수 있는 유물이라는 점에서 큰 역사적 가치를 지니고 있습니다.<br /><br /> "1871년 신미양요 때 미국 군인들이 전쟁을 이기고 전리품으로 제일 먼저 가져간 게 장군 수자 깃발입니다. 전쟁 역사를 들여다 볼 수 있는 가장 큰 유물입니다."<br /><br />최근엔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어재연 장군 수자기가 전리품이 아닌 약탈 문화재라며 영구 반환돼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미 해군사관학교 박물관이 수자기 재대여에 유보적인 입장을 보인 것으로 전해지는 가운데 강화군은 재대여는 물론 영구 반환까지 추진한다는 방침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한웅희입니다. (hlight@yna.co.kr)<br /><br />영상취재 기자 이상혁<br /><br />#수자기 #어재연 #신미양요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