전국 의과대학 교수들이 오는 25일 이후 대학별로 사직서를 제출하기로 뜻을 모았습니다. <br /> <br />교수들은 사직서를 내더라도 환자 진료에는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이지만, 의료 공백은 물론, 이번 사태가 파국으로 치달을 거란 우려가 큽니다. <br /> <br />임성재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전국 20개 의과대학 교수들이 오는 25일 이후 집단 사직을 예고했습니다. <br /> <br />서울대와 연세대 등 각 의대 비상대책위원회 대표들이 어젯밤 온라인으로 모여 논의한 결과입니다. <br /> <br />비대위는 회의 참석 대학 16곳의 설문에서 찬성 의견이 압도적으로 나왔다는 점을 '사직서 제출' 결정 배경으로 꼽았습니다. <br /> <br />다만, 사직서를 제출해도 각 대학의 수련병원 환자 진료에 최선을 다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비대위는 사직서 제출에 앞서 오는 22일에도 다시 회의를 열어 진행 상황을 점검할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교수들까지 사직서를 내면 상황이 최악으로 치달을 거라는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, <br /> <br />정부는 교수들에게 환자의 생명과 건강을 위해 사직 대신 제자들을 설득해달라 당부했습니다. <br /> <br />[조규홍 / 보건복지부 장관 : 전공의와 의대생들을 병원과 학교로 돌아오도록 설득해야 할 교수님들이 환자를 떠나 집단행동을 하는 것을 국민은 결코 이해할 수 없을 것입니다.] <br /> <br />의료계에선 정부가 의대 증원 2천 명을 포함해 의료개혁 정책 모두, 의협과 전공의 등과 다시 대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잇따랐습니다. <br /> <br />[강기수 / 제주대 의대 교수협의회장 : 인구 소멸의 위기를 겪고 있고 최근 과학발전으로 AI와 로봇이 모든 분야의 변화와 발전을 주도하고 있다. 이러한 현실에서 12년 후 의사 수를 크게 늘리는 것이 과연 옳은 정책인가.] <br /> <br />교수들의 집단 사직이 현실화하면 지난 한 달, 어렵사리 버텨왔던 비상진료체계가 크게 흔들리게 될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이런 가운데, 전공의 사직 사태에 관여한 혐의를 받는 김택우 대한의사협회 비대위원장은 사흘 만에 경찰에 다시 출석해 조사를 받았습니다. <br /> <br />13시간여 고강도 조사를 받고 나온 김 위원장은 전공의 집단 사직 종용은 없었다며 혐의를 거듭 부인했습니다. <br /> <br />[김택우 / 대한의사협회 비대위원장 : 연관성을 많이 이렇게 찾으려고 하시는 것 같습니다. 여러 번 말씀드렸지만 그런 내용은 전혀 없었으니까….] <br /> <br />김 위원장과 함께 고발된 임현택 대한소아청소년과 의사회장도 경찰에 출석해 3시간가량 ... (중략)<br /><br />YTN 임성재 (lsj621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40316040526481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