강원 동해안 지역은 봄철만 되면 되새겨지는 악몽 같은 징크스가 하나 있습니다. <br /> <br />선거 있는 짝수해에 대형 산불이 발생한다는 건데요. <br /> <br />올해 총선을 앞둔 짝수해죠. <br /> <br />산불 없이 징크스가 깨지길 바라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홍성욱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역대 최악의 산불로 기록된 2022년 동해안 산불. <br /> <br />경북 울진에서 시작된 산불이 강원 삼척까지 번졌고, 이튿날 강릉과 동해지역에서도 대형 산불이 발생했습니다. <br /> <br />축구장 2만 개가 넘는 산림이 잿더미로 변했고, 주민 수백 명이 삶의 터전을 잃었습니다. <br /> <br />2022년은 대선과 지방선거가 겹쳤던 해, <br /> <br />선거가 있는 짝수해에 대형 산불이 발생한다는 강원지역 징크스가 다시 떠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실제로 15대 총선이 있던 1996년 고성에서는 큰 산불이 났습니다. <br /> <br />4년 뒤 16대 총선이 있던 2000년에도 동해안 전역에 산불이 발생했고, 2004년과 2006년, 2018년, 2020년에도 대형 산불이 이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대형 산불이 발생했던 곳입니다. 불에 탄 나무를 잘라내기만 했을 뿐, 제대로 된 복구는 시작도 하지 못했습니다. 짝수해인 올해 선거를 앞두고 또다시 큰 산불이 발생하지 않을까 걱정이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물론 대형 산불의 진짜 원인은 봄철 동해안에 부는 고온 건조한 양간지풍. <br /> <br />짝수해가 아닌 2019년에도 고성과 속초에서, 그리고 지난해에도 강릉에서 대형 산불이 발생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영농부산물이나 쓰레기를 태우다 강한 바람에 불길이 주변 산으로 번지는 경우가 많았습니다. <br /> <br />산불을 막기 위해 자치단체가 일찍부터 소각 근절에 나선 이유, <br /> <br />봄이 되자 영농부산물을 직접 모아 파쇄에 나서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정광열 / 강원도 경제부지사 : 영농부산물을 보시는 것처럼 파쇄해서 거름으로 쓸 수 있도록 파쇄용 기기 340대를 준비했고, 또 직접 농민들께서 파쇄하지 않으셔도 도와드릴 수 있도록 2천 명의 인원들이 준비돼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선거 있는 짝수해에 반복된다는 대형 산불, <br /> <br />올해는 제발 징크스가 깨지길, 동해안 주민들은 간절히 바라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홍성욱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촬영기자;박진우 <br />그래픽;박유동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홍성욱 (hsw0504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40317052847742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