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본 중앙은행인 일본은행이 금융정책결정회의에서 17년 만에 금리 인상을 결정했습니다. <br /> <br />물가와 임금 상승 등이 주요 배경으로 꼽히는데, 그동안 이어온 금융완화 정책들도 큰 변화를 맞을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일본 현지 연결합니다. 김세호 특파원! <br /> <br />먼저, 일본의 금리 인상 폭은 얼마나 됩니까? 어떤 정책 변동이 올까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. 일본은행은 이틀간의 금융정책결정회의 끝에 2007년 2월 이후 17년 만에 금리를 인상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경기 부양을 위해 금리를 매우 낮은 수준으로 억제하는 '대규모 금융완화'의 핵심인 마이너스 금리 정책 해제를 전격 결정한 겁니다. <br /> <br />일본은행은 2016년 2월에 도입한 마이너스 금리 정책을 통해 -0.1% 단기 정책금리를 적용해 왔는데, <br /> <br />이번에는 0.1% 포인트 올려 단기금리를 0~0.1%로 유도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일본은행은 이와 함께 자국 기업의 주식을 사들이는 상장주식 펀드 매입, <br /> <br />그리고 국채를 무제한 매입하면서 국체시장 금리를 직접 통제하는 수익률곡선 등 대표적인 금융정책도 중단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금리 인상이 결정된 직후, 엔·달러 환율은 예상과는 달리 약세를 기록하면서 달러당 149.2엔 선에서 등락을 거듭하다 오후 3시 36분 현재 150.43엔까지 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증시는 금리 인상 소식이 전해진 뒤 크게 오르면서, 닛케이지수는 4,0003.60으로 장을 마쳤습니다. <br /> <br />교도통신은 일본은행이 시장 예상대로 금융완화 정책에 변화를 주면서 투자자들이 안심하게 된 점을 주요 원인으로 꼽았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이번에 일본은행이 금리 인상에 나선 배경은 무엇입니까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일본은 거품 경제가 무너지면서, 자국 경제가 디플레이션에 빠지자, 세계에서 유례가 없을 만큼 저금리 정책을 이어왔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최근 시장에서는 금리가 오를 것이라는 예상에 힘이 실려 왔었는데요, <br /> <br />주된 배경은 일본 기업들의 잇따른 임금 인상 흐름입니다. <br /> <br />일본노동조합총연합회, 렌고는 올해 평균 임금 인상률을 중간집계한 결과, <br /> <br />지난해 같은 시점보다 1.48% 높은 5.28%로 파악됐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최근 도요타 자동차 등 대기업들의 노조의 임금 인상폭을 잇따라 수용하면서, <br /> <br />이런 흐름이 기업 전반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기대감도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소비자물가지수 역시 3.1% 오르며 지난 1982년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. <br />... (중략)<br /><br />YTN 김세호 (se-35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40319170226803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