세월호 참사가 다음 달 16일로 10주기를 맞습니다. <br /> <br />문화계는 영화와 책으로 유가족들의 이야기를 담아내고, 반복되는 사회적 참사를 애도했습니다. <br /> <br />김혜린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다큐멘터리 영화 '세월 라이프 고즈 온'. <br /> <br />세월호 참사로 딸을 잃은 유경근 씨가 다른 참사 유족과 나누는 이야기를 담았습니다. <br /> <br />대구 지하철 화재·씨랜드 수련원 화재로 딸들을 잃은 황명애·고석 씨와, 국가적 폭력으로 아들을 잃은 고 배은심 여사. <br /> <br />사회적 참사를 겪은 유족들은 서로의 곁을 내어주며 함께합니다. <br /> <br />[황명애 / 고 한상임 씨 어머니 (대구 지하철 참사 희생자 대책위원회) : 내 아이는 왜 죽임을 당했는지에 대해서 알아야 심리적 안정이 오는데, 그런 것들이 지켜지지 않기 때문에 오는 문제를 풀기 위해서도 저희 유족들은 연대할 수밖에 없었습니다.] <br /> <br />참사의 당사자가 될 거라고 단 한 번도 상상하지 않았던 유족들은, 어느 순간 당사자가 됐을 때 곁에 누군가 있다고 여겨주면 좋겠다고 말합니다. <br /> <br />편집이 완성된 뒤 일어난 이태원 참사를 마지막 순간 언급한 영화는, 반복되는 참사를 막으려면 사고를 잊지 않고 기억해야 한다고 역설합니다. <br /> <br />[장민경 / 감독 : 나라 구하다가 죽었느냐는 말로 매도를 하는 경우들이 많습니다. 애도에 위계를 짓는 발언들이 많은데, 사건의 원인을 찾거나 죽음에 위계를 짓는 것이 아니라, '왜 돌아오지 못했느냐'를 같이 물어왔고….] <br /> <br />또 다른 다큐멘터리 영화 '바람의 세월'은 세월호 참사로 딸을 잃은 문종택 씨가 연출을 맡았습니다. <br /> <br />참사 전까지 평범한 아버지였던 문 씨는 진실을 밝히기 위해 투쟁해온 유족들의 삶을 이야기합니다. <br /> <br />책 '520번의 금요일'과 '봄을 마주하고 10년을 걸었다'는 세월호 유족과 생존자들의 삶을 가감 없이 드러냈습니다. <br /> <br />버티고 살아온 삶의 기록 속, 유족들의 갈등도 눈에 띕니다. <br /> <br />[김종기 / 고 김수진 학생 아버지 (세월호 참사 가족협의회) : 저희가 살아온 10년의 삶을 거짓으로 쓸 수는 없잖아요. 미화되고 그러진 않았으면 좋겠다. 안전한 사회에서 살 수 있다는 그런 생각을 (우리 가족들은 했습니다.)] <br /> <br />이태원 참사 등 계속되는 참사는 상처가 아물기도 전에 또 다른 아픔을 남기는 현재진행형으로 남아 있습니다. <br /> <br />또 다른 참사를 막기 위해, 우리 모두의 회복을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피해자에게 곁을 내어... (중략)<br /><br />YTN 김혜린 (khr0809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6_20240324043702147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