지속적인 전셋값 상승 여파로 서울 등 수도권 일부 아파트를 중심으로 전세를 끼고 집을 매입하는 '갭투자'가 다시 꿈틀대는 조짐입니다. <br /> <br />다만 아직은 주택시장이 워낙 위축된 만큼 갭투자를 일시적인 현상으로 보는 시각이 많습니다. <br /> <br />차유정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서울 노원구에 있는 대단지 아파트입니다. <br /> <br />지난 1월 전용면적 113㎡ 아파트가 8억 5,500만 원에 매매거래가 체결됐는데 같은 날 보증금 7억 5,500만 원에 전세 세입자를 받았습니다. <br /> <br />1억 원으로 아파트를 매입한 셈입니다. <br /> <br />최근 서울 강동구에서는 전세 세입자를 받아 8천만 원으로 7억 대 아파트를 산 경우도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서울 외곽 지역과 수도권 일부 아파트를 중심으로 한동안 잠잠했던 갭투자가 다시 고개 들 조짐을 보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갭투자는 전세를 끼고 집을 사는 건데 최근 전셋값이 많이 올라 매매가와 차이가 좁혀지니 갭투자 수요도 늘어나게 된 겁니다. <br /> <br />한국부동산원 자료를 보면 서울 아파트값은 하락 추세였는데 전셋값은 10개월 가까이 상승세를 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고금리와 경기침체 등으로 아파트 가격 상승이 어려울 것으로 판단되자 수요자들이 매매를 미루고 전세로 돌아선 겁니다. <br /> <br />전세사기 우려로 빌라 전세 수요가 아파트로 옮겨오고 보증금을 저리로 빌려주는 신생아 특례 대출이 최근 출시된 영향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다만 갭투자가 이전처럼 다시 성행할 거라고 보는 시각은 많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이사철이 지나면 전세 수요가 가라앉을 가능성이 큰 데다 지금 갭투자를 하기엔 주택시장이 워낙 위축됐기 때문이란 겁니다. <br /> <br />[이은형 /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 : 단기에 부동산 가격 급등이 예상되는 곳이 많진 않기 때문에 갭투자가 시장의 주류로 자리 잡을 가능성은 그렇게 크지는 않습니다.] <br /> <br />반면 서울 입주 물량 감소 등으로 전셋값이 추가로 오를 가능성도 있는 만큼 갭투자 확대를 전망하는 시각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윤지해 / 부동산114 연구원 : 갭투자는 향후에도 증가할 여지가 큽니다. 대출 규제가 심해지면서 사금융에 해당되는 전세 활용 레버리지 투자가 활성화될 여지가 있다….] <br /> <br />전문가들은 일부 개발 호재가 있는 특정 지역은 집값 변동성이 높아 깡통 전세 위험성도 커질 수 있는 만큼 주의하라고 당부합니다. <br /> <br />YTN 차유정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차유정 (chayj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40325051309449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