농촌 소멸 막는다…"비즈니스 하는 곳으로 탈바꿈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텅 비어가는 농촌 문제 어제오늘 일이 아니죠.<br /><br />정부가 '농촌소멸 대응 추진 전략'을 내놨습니다.<br /><br />핵심은 농촌을 농사만 짓는 곳이 아닌 곳으로 탈바꿈해 청년들을 끌어모으겠다는 겁니다.<br /><br />구체화는 더 필요해 보입니다.<br /><br />서형석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총 인구 대비 가파르게 감소하고 있는 농촌 인구.<br /><br />2050년이면 지금보다 100만 명 넘게 줄어든 840여만 명만 수도권 밖 읍과 면에서 살 것으로 전망됩니다.<br /><br />농촌소멸 위기 속에 정부가 내놓은 해법은 농촌이라는 공간을 일종의 플랫폼으로 삼아 청년 혁신 기업가들이 모이고 새로운 기술을 시험해 볼 수 있는 곳으로 바꾸는 겁니다.<br /><br />더 이상 농사만 짓는 곳이 아니란 이야기입니다.<br /><br />청년농을 위한 농지와 자금 지원은 계속 확대하되, 로컬푸드, 관광 등 농촌의 유무형 자원을 활용한 창업을 위해서도 자원조사부터, 자금, 주택 등을 종합 지원합니다.<br /><br />농촌소멸 고위험 지역에는 자율규제 혁신지구를 구성해 맞춤형 인센티브를 제공하고, 3ha 이하 자투리 농업진흥지역 해제와, 산지 전용 허가 기준 완화도 추진합니다.<br /><br />공유형 숲오피스 조성 등 워케이션과 치유 관광 활성화도 목표인데, 현재 6만 채가 넘는 것으로 추정되는 빈집은 숙박업 실증 특례를 전국으로 확대하고, 민간 거래 플랫폼 연계로 세컨드 하우스 거래를 늘릴 계획입니다.<br /><br /> "비록 여기 살지 않더라도 우리 농촌에 와서 일하고 왕래하며 4도3촌 라이프 스타일로 쉬면서 교류를 하면 우리 5,000만 명의 대한민국 인구가 마치 1억 명인 것처럼 경제 효과를…"<br /><br />다만 출산 감소로 나라 전체 인구가 줄어들고 있다는 큰 흐름 속에 이민 정책까지는 논의가 확장되지 못했고, 귀촌 청년을 향한 '텃세' 논란 등의 근절을 위한 지역주민과 융화 문제도 숙제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서형석입니다. (codealpha@yna.co.kr)<br /><br />[영상취재기자 : 이덕훈]<br /><br />#농촌소멸 #NEW_RURALISM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