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22석이 걸린 수도권 표심을 누가 잡느냐가 이번 선거의 승패를 가를 중요한 요인이 될 텐데요. <br /> <br />저출생 고령화 여파로 청년보다 어르신 유권자가 더 많은 지역구가 수도권에 대폭 늘어났습니다. <br /> <br />어떤 변화가 있는지, 수도권 판세에 얼마나 영향을 미칠지, 최아영 기자가 분석해봤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22대 국회의원 선거의 최대 승부처, 역시 122석이 걸린 수도권이죠. <br /> <br />이번 선거, 어르신 유권자가 청년 유권자보다 많은 첫 선거입니다. <br /> <br />이런 유권자 구성의 변화가 수도권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서울과 경기, 인천의 모든 지역구를 나타낸 지도입니다. <br /> <br />색깔로 표시된 곳은 4년 전 21대 국회의원 선거 당시 60대 이상 어르신 유권자가 30대 이하 청년 유권자보다 더 많았던 이른바 '어르신 지역구'입니다. <br /> <br />모두 5곳입니다. <br /> <br />서울 도봉 을, 경기 동두천연천과 포천가평, 여주양평, 인천 중구강화옹진으로 대부분 외곽이나 접경 지역입니다. <br /> <br />그렇다면 이번 선거는 어떨까요? <br /> <br />22대 국회의원 선거, '어르신 지역구'가 무려 27곳입니다. <br /> <br />4년 전보다 5배 넘게 늘어났습니다. <br /> <br />수도권 지역구 4~5곳 가운데 1곳은 '어르신 지역구'가 된 셈입니다. <br /> <br />지역별로 살펴볼까요. 먼저 서울입니다. <br /> <br />도봉 을 1곳이던 '어르신 지역구'가 이번에 8곳이 됐습니다. <br /> <br />중랑 을과 강북 갑을, 도봉 갑과 노원 을, 양천 을과 구로 갑이 추가됐는데요. <br /> <br />이른바 '노도강' 지역은 노원 갑을 제외하곤 모두 '어르신 지역구'입니다. <br /> <br />어르신 증가와 청년 감소가 얼마나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을까요. <br /> <br />단적으로 양천 을 지역을 보면 불과 4년 만에 청년 유권자 수가 5천 명 넘게 줄어들었습니다. <br /> <br />반면 어르신 유권자는 8천 명 이상 늘었습니다. <br /> <br />다음은 경기도로 가볼까요. <br /> <br />지난 선거에 비해 10곳 늘어 모두 13곳이 됐습니다. <br /> <br />심지어 서울과 인접하고, 대도시에 속하는 고양 갑, 부천 갑과 병, 안양 만안과 남양주 갑마저도 이번 선거부터 '어르신 지역구'에 이름을 올렸습니다. <br /> <br />인천은 직전 선거 때 1개였지만, 이번에는 6개로 증가했습니다. <br /> <br />전체 지역구가 14곳이니까, '어르신 지역구'가 40%가 넘는 겁니다. <br /> <br />'어르신 지역구'는 비단 외곽이나 접경 지역뿐 아니라, 이제는 수도권 곳곳으로 범위를 넓히는 모양새입니다. <br /> <br />결과적으로 누가 웃게 될까요? <br /> <br />4년 전 수도권 전체에... (중략)<br /><br />YTN 최아영 (woo72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40410072922589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