여당이 참패한 뒤, 간신히 물꼬를 트는 듯했던 의정 대화는 다시 소강상태에 빠졌습니다. <br /> <br />의대 2천 명 증원에도 제동이 걸릴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는데, 대체 언제, 몇 명을 더 뽑는다는 것인지 수험생 혼란이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김현아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여당의 총선 참패로, 정부와 의료계가 주도하던 의정 대화는 변곡점을 맞을 가능성이 커졌습니다. <br /> <br />정국 주도권을 잡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여야와 시민, 환자 등이 참여한 '의료개혁 특위'를 구성하겠다고 밝혔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엄밀히 말하면, 의대 증원 절차엔 국회가 개입할 부분이 없긴 하지만 <br /> <br />175석의 지지를 업은 거대 야당이 논의에 적극 나서겠다고 한 만큼, 종전 같은 '의정 대화'만으로 해결책을 찾기도 어려워졌습니다. <br /> <br />문제는, 대화체 구성은 6월 이후로 밀릴 판인데 대학별 의대 모집정원은 5월 중 발표된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때문에, 의대 교수들은 대학 총장들을 향해 증원 절차를 멈추고 증원분도 반납하라고 요구했고 정부가 일축했던 '증원 1년 유예' 방안도 다시 고개를 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김성근 /대한의사협회 비상대책위 홍보위원장 : 선거를 통해 증명된 국민의 진짜 여론을 받들어야 합니다. 이에 더욱 빠르게 흘러가고 있는 의료 파국의 시계를 멈추고….] <br /> <br />하지만 정부가 총선 결과와 별개로 기존 입장, 즉 '의료계의 통일된 안'을 가져오면 논의할 수 있지만, 아니면 2천 명 증원하겠단 방침을 유지할 거란 전망도 나옵니다. <br /> <br />대학들도 고민입니다. <br /> <br />의정 대화 중인데 섣불리 증원 규모를 정하기도 어렵고, 단계적 증원을 생각해 올해 적게 뽑았다가 추후 사회적 대화로 증원 규모 자체가 확 줄면, 첫해 '찔끔' 늘린 정원이 최종 숫자가 될 수 있어섭니다. <br /> <br />학원가에선 증원이 천 명 밑으로 떨어지면, 의대 쏠림이 장기간 이어지고 <br /> <br />만약 모집 유예나 원점 재논의가 전격 결정되면, 대규모 혼란이 일 것으로 예상했습니다. <br /> <br />의대 증원 논의가 갈피를 잃은 가운데 올해 수시모집요강 발표도 예년보다 2~3주는 늦게 나올 거로 보여, 수험생들의 혼란은 피하기 어려울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YTN 김현아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영상편집;이자은 <br /> <br />디자인;김효진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김현아 (kimhaha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40413000304517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