중동 리스크에 잘나가던 해외 건설도 '예의주시'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이란의 이스라엘 보복 공격 후 중동 정세에 불안감이 감돌면서, 국내 건설업계도 긴장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올해 해외건설 수주 목표 달성이 불가능해지는 것은 물론, 이미 따낸 사업까지 실행하기 어려워질 가능성도 있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조성흠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지난해 6월 현대건설이 무려 50억 달러의 아미랄 프로젝트를 따내며 사우디아라비아 역대 최고 수주액 기록을 썼던 국내 건설업계.<br /><br />1년도 채 되지 않아 삼성E&A와 GS건설이 70억 달러 규모의 사우디아라비아 '파딜리 가스 증설 프로그램' 공사를 수주하며 다시 한 번 최고 수주액 역사를 썼습니다.<br /><br />올해 해외 건설 수주 목표인 400억달러 달성에 청신호가 들어온 듯했지만, 이란이 이스라엘에 군사 공격을 단행하자 적신호가 켜졌습니다.<br /><br />이스라엘이나 이란에서 직접적으로 수행하는 공사는 거의 없습니다.<br /><br />이스라엘에는 회사 한두곳이 규모가 그리 크지 않은 발전 기자재 공사를 하고 있고, 이란은 경제 제재가 길어지면서 사실상 국내 건설사들이 철수한 상태입니다.<br /><br />하지만 5차 중동전쟁으로 확대된다면 문제가 달라집니다.<br /><br />국내 건설사들이 사우디에서 추진 중인 네옴시티 프로젝트 등 사업 진행시 공사 지연과 원자잿값 상승에 따른 공사비 증가 등 어려움이 예상됩니다.<br /><br /> "중동지역에서 위험 증대에 따른 철수권고라든지 이런 부분이 나왔을 땐 현장이 전면 중단되는 혹은 이런 부분에서의 우려가…."<br /><br />또, 사우디 뿐 아니라 이라크와 쿠웨이트 등에서 사업 수주를 노리는 우리 기업들의 진출에도 제동이 걸리게 됩니다.<br /><br />중동 전쟁으로 유가마저 치솟으면 국내 건설 경기는 원자잿값 상승으로 인한 공사비 급등으로 어려워질 가능성이 높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조성흠입니다. (makehmm@yna.co.kr)<br /><br />#중동전쟁 #해외건설 #공사비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