전공의 이탈 두 달째…의정 갈등 해결점 안보여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전공의들이 병원을 떠난 지 두 달이 지났습니다.<br /><br />의대 교수들이 사직서를 낸 지도 곧 한 달이 되어가는데, 정부와 의사들은 여전히 양보 없는 대치를 이어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홍서현 기자가 지난 두 달간의 의정 갈등을 정리했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지난 2월 6일, 정부가 '2천 명 증원'을 발표하며 의정 갈등이 시작됐습니다.<br /><br />전공의들이 사직서를 내고, 의대생들의 무더기 휴학이 이어졌습니다.<br /><br />정부가 3월까지 복귀하면 행정처분 책임을 묻지 않겠다고 약속했지만, 대다수는 병원에 돌아가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주요 100개 수련병원의 전공의 이탈률은 지난달 8일 기준 93%에 달합니다.<br /><br />사태가 길어지면서 수술 지연 피해가 잇따르고, '응급실 뺑뺑이' 끝에 숨진 사연도 전해졌습니다.<br /><br />정부는 군의관과 공중보건의, PA간호사 등을 동원하며 비상진료체계 운영에 나섰습니다.<br /><br />의정 갈등은 정부가 대학별 의대 정원 배정까지 끝마치면서 증폭됐습니다.<br /><br />의대 교수들이 "제자를 지키겠다"며 사직서를 내고 근무시간 단축에 돌입한 겁니다.<br /><br />총선을 앞두고 윤석열 대통령이 면허정지 처분의 "유연한 처리"를 지시하고, 박단 전공의협의회 비대위원장과 만나는 등 유화적인 자세를 보였지만 상황은 나아지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여당이 총선에 패하자 의사들은 "국민의 심판을 받들라"며 한목소리로 '의대 증원 원점 재논의'를 촉구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전공의 1,360명은 박민수 보건복지부 제2차관을 직권남용 혐의로 고소하면서 "경질 전엔 복귀하지 않겠다"는 뜻을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전공의와 의대생들이 돌아오지 않으면서 의사 배출에 차질이 생기고, 대학병원이 도산할 수 있다는 위기도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 "하나의 톱니바퀴라도 고장나는 순간 전체가 무너지는 시스템인 것입니다."<br /><br />대통령 직속 의료개혁특별위원회가 곧 출범할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, 의협과 전공의들의 참여 여부는 여전히 불투명합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홍서현입니다. (hsseo@yna.co.kr)<br /><br />#전공의 #의대증원 #의정갈등 #의료공백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