친환경인 척 '그린워싱'…기업들 꼼수 살펴보니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환경에 도움이 되지 않는 제품을 마치 친환경인 것처럼 광고하는 기업의 모습을 위장 환경주의, 이른바 '그린워싱'이라 합니다.<br /><br />친환경을 추구하는 소비자들을 끌기 위한 기업들의 속임수는 점차 늘어나는 추세입니다.<br /><br />윤솔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국내 한 생수업체의 SNS 광고입니다.<br /><br />플라스틱 병에 물을 담아 팔며 멸종위기 동물들의 그림을 새겨 환경에 대한 관심을 환기한다는 내용이 담겨있습니다.<br /><br />바다에 버려지는 플라스틱 페트병 쓰레기가 해양 생물에 미치는 해악에 대한 설명은 누락됐다는 지적이 이어지며 환경단체가 조사한 최악의 '그린워싱' 1위 사례로 꼽혔습니다.<br /><br />이 밖에도 자연 이미지를 남용하거나, 소비자들의 행동을 변화하도록 하는 책임 전가하는 유형, 또 친환경 움직임을 과장하는 유형 등 온라인상 그린워싱 사례는 650건으로 나타났습니다.<br /><br />법적으로까지 문제가 되는 그린워싱 사례 역시 적지 않습니다.<br /><br />환경부가 진행하는 부당 환경성 표시나 광고 적발 건수는 지난 2022년 4,558건에서 지난해 4,940건으로 380여 건 늘었습니다.<br /><br />기업들이 홍보에만 친환경을 이용하는 게 아니라 재생에너지 사용을 늘리고, 탄소중립에 앞장서도록 하기 위해서는 정부가 적발 범위를 넓히며 단속을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<br /><br /> "기업의 이미지 홍보 등도 그린워싱의 관리 기준으로 들어와야 되는 부분이 하나가 있고요. 위반에 대한 처벌이 강화돼야 돼요."<br /><br />기업의 실제 움직임을 유도할 수 있도록 정책적인 유인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옵니다.<br /><br /> "환경 정책에 대한 메시지를 오히려 다운을 시켜갖고…결국 기업들은 그 신호에 따르는 거잖아요. 기업 측에서는 굳이 지금 우리가 그린을 얘기하지 않아도 되는 건가…."<br /><br />연합뉴스TV 윤솔입니다. (solemio@yna.co.kr)<br /><br />#그린워싱 #환경부 #친환경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