부동산 침체에 건설업 '한파'…관련업종 취업자 급감<br />[뉴스리뷰]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지난해 건설경기가 위축되자, 건설 관련 업종의 취업자 수가 확연히 줄어들었습니다.<br /><br />반면, 음식점과 주점업 등과 같은 서비스업종의 취업자는 증가했는데요.<br /><br />그럼에도 서비스산업 업계에선 구인난이 여전합니다.<br /><br />문형민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지난해 하반기 취업자는 1년 전보다 34만 6천명 증가한 2,876만 4천명으로 나타났습니다.<br /><br />업종별로 증감에 대한 차이가 컸는데, 특히 건설업 관련 취업자가 눈에 띄게 줄었습니다.<br /><br />건물건설업 2만 8천명, 건물 청소업·부동산 서비스업 등에서 각 1만 7천명씩 감소한 겁니다.<br /><br /> "작년에 건설경기가 조금 안 좋았었잖아요. 부동산업도 작년에 안 좋았었거든요. 실내 건설, 인테리어 관련된 부분도 같이…"<br /><br />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 PF 부실 등의 영향을 받아 건설경기가 위축된 데 따른 것이란 분석입니다.<br /><br />건설업종과는 다르게 음식업, 주점업 등과 같은 서비스업종의 취업자는 크게 증가했습니다.<br /><br />특히 음식점업에 취업한 사람은 3만 5천명 늘어난 164만 2천명으로 비중이 가장 컸습니다.<br /><br />취업자가 다른 업종에 비해 많이 늘었다지만, 현장에선 아직도 구인난에 허덕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 "현장에서 최저임금의 1.5배를 줘도 안 오려고 하고, 약간 3D 업종처럼 인식이 돼서 갈수록 인력을 구하기가 힘듭니다."<br /><br />최근 지식재산서비스, 에듀테크 등 지식기반 고부가 서비스업종도 인력난은 마찬가지입니다.<br /><br />정부가 한식당 등에서도 비전문 취업비자 외국인의 고용을 허가하며 저부가 서비스업종 지원에 나선 것과 달리, 고부가 서비스업종 인력난에 대한 대책은 마땅치 않습니다.<br /><br />이에 정부는 고부가업종으로의 취업 유도를 위한 인센티브 체계 마련에 최근 착수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문형민입니다. (moonbro@yna.co.kr)<br /><br />#취업자 #건설업 #서비스업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