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제강점기에 소중한 우리 문화유산을 지켜낸 보화각, 지금의 간송미술관이 1년 7개월간의 보수 복원 공사를 마치고 다시 문을 엽니다. <br /> <br />재개관 기념 전시에서는 보화각 건축 당시 설계도면과 미공개 유물이 대거 공개됩니다. <br /> <br />김정아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우리나라 최초의 사립미술관인 보화각은 간송미술관의 옛 이름입니다. <br /> <br />1년에 딱 2번, 2주씩만 여는 전시회를 보기 위해 수백 미터씩 줄을 서는 진풍경으로 유명했는데 <br /> <br />2019년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국가 등록문화재로 지정된 이후 국고보조사업 지원을 받아 최근 보수 복원 공사를 마쳤습니다. <br /> <br />외형은 원형을 유지하되, 내부 전시실은 예전에 비해 조도를 낮춰 유물 보존에 주안점을 뒀습니다. <br /> <br />재개관을 기념하기 위한 전시회에서는 우리나라 1세대 건축가 박길룡이 설계한 '북단장'과 '보화각' 설계 도면이 제일 먼저 눈에 띕니다. <br /> <br />수장고에 꼭꼭 숨어있던 터라 보존 상태가 놀랄 만큼 깔끔한 데다, 우리나라 건축사에서 가장 앞선 청사진 도면이라 건축사적으로도 의미가 큽니다. <br /> <br />[김영욱 / 간송미술관 전시교육팀장 : 여기 진열되어 있는 청사진 도면들은 한번도 공개된 적이 없기 때문에 최상급의 상태를 유지하고 있고요. 아마도 이번 하반기 학술 심포지엄에서 학술적 가치가 재조명되면 등록지정문화재로 가치가 있지 않을까…] <br /> <br />각 도면에 설계된 건물들을 3D 영상으로 구현해 관람객들의 입체적 관람이 가능하도록 했습니다. <br /> <br />보화각을 건립하고 운영한 모든 과정을 간송이 직접 수기로 기록한 일기 대장은 보화각 건립 당시 퍼즐을 맞추는 열쇠 같습니다. <br /> <br />[전인건 / 간송미술관장 : 간송께서 소비하셨던 모든 것에 대한 가계부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. 골동이라든지 서화를 구입하셨던 기록이라든지, 보화각을 지으면서 설계비라든지 인건비라든지 이런 것들을 지출한 모든 내역을 모두 볼 수 있기 때문에…] <br /> <br />이밖에 보존 작업을 끝낸 미공개 서화 유물들도 대거 공개되는데. <br /> <br />1930년대 흑백 기사로만 남아있던 작품의 실물부터, <br /> <br />나비 그림의 대가 남계우와 그의 제자 고진승의 그림도 나란히 만나볼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일반에게는 다음 달 1일 첫 공개됩니다. <br /> <br />YTN 김정아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촬영기자 : 정태우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김정아 (ja-kim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6_20240429191213201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