크루즈선 여러 척 정박하면 관광지 혼잡도 급증 <br />크루즈선, 탄소 배출량 많아…환경에도 악영향 <br />암스테르담·프라하 등도 ’과잉 관광’으로 몸살 <br />관광지들, 인원 제한·입장료 부과 등 ’고육책’<br /><br /> <br />최근 몇 년간 코로나19로 주춤했던 여행 산업이 되살아나면서 전 세계 유명 관광지 곳곳은 너무 많은 관광객이 한꺼번에 몰리는 '과잉 관광'으로 몸살을 앓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따라 현지에선 당일치기 관광객엔 도시 입장료를 부과하고, 유적 하루 입장 인원을 제한하는 조치도 시행하지만, 근본적인 해결책은 뚜렷이 보이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홍주예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크루즈선 여러 척이 닻을 내린 스페인 바르셀로나 항구. <br /> <br />17만 톤급 새 크루즈선도 취항 준비를 마쳤습니다. <br /> <br />수영장과 고급 식당, 카지노 시설이 승객을 기다립니다. <br /> <br />[해나 워딩엄 / 영국 배우·가수 : 배의 이름은 '선 프린세스'입니다. 이 배와 이 배를 타고 항해하는 모든 이에게 신의 축복이 있기를.] <br /> <br />그러나 도시에선 이런 크루즈선을 달가워하지 않기도 합니다. <br /> <br />여섯 척이 동시에 정박하기도 하는데, 그러면 많게는 3만 명이 한꺼번에 부두에 내려서 안 그래도 발 디딜 틈 없는 관광지가 더 붐비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크루즈 관광이 지역 환경에 악영향을 준다는 지적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크루즈선을 탔을 때 탄소 발자국이 비행기로 대서양을 건널 때의 아홉 배라는 연구 결과가 있을 정도입니다. <br /> <br />[조르디 발스 / 바르셀로나시 경제·관광 위원 : 이 도시는 이미 포화 상태입니다. 크루즈 관광이 두 자릿수로 성장하면 도시가 감당할 수가 없습니다. 이것은 바르셀로나가 바라는 바가 아닙니다.] <br /> <br />관광객으로 몸살을 앓는 곳은 바르셀로나뿐이 아닙니다. <br /> <br />유럽에서만 네덜란드 암스테르담과 체코 프라하, 크로아티아 두브로브니크 등이 극심한 혼잡과 소음, 고물가에 시달리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게다가 코로나19로 꺾였던 여행 수요가 올해 여름엔 '팬데믹' 이전 수준을 넘어설 거란 전망이 나와, 이런 '과잉 관광'은 심화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그래서 그리스 아테네는 지난해 9월, 아크로폴리스 관광객을 하루 2만 명으로 제한하는 정책을 도입했고, <br /> <br />이탈리아 베네치아는 당일치기 방문객에게 입장료를 물리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크리스티안 디아킬레 / 베네치아 관광객 : 도시 입장료를 부과하는 건 옳지 않아요. 박물관 요금도 내고, 돌아다닐 때나 먹... (중략)<br /><br />YTN 홍주예 (hongkiza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40507013204896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