북한 '법원 전산망' 해킹…문서 최소 5천여개 털려<br />[뉴스리뷰]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지난해 우리 사법부 전산망이 해킹을 당해 개인정보가 다수 포함된 자료 최소 5천 건이 유출됐는데요.<br /><br />수사 결과 북한 해킹 조직의 소행으로 드러났는데요.<br /><br />긴 시간 동안 해킹 사실조차 탐지하지 못한 점이 문제로 지적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나경렬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법원 전산망에서 해킹 프로그램이 발견된 건 지난해 2월.<br /><br />수사에 나선 경찰과 국정원은 북한 해킹 조직 라자루스의 소행이라고 결론 내렸습니다.<br /><br />라자루스가 해킹 때마다 사용하는 악성 프로그램이 사법부 전산망에서도 발견된 겁니다.<br /><br />법원 전산망을 뚫은 해커들은 유출한 자료들을 다른 서버로 옮겼습니다.<br /><br />국내 업체를 해킹하거나 가상자산으로 결제하며 사법부 문서를 옮길 서버를 확보했습니다.<br /><br />이렇게 털린 법원 자료는 1천GB가 넘습니다.<br /><br />이 가운데 내용이 확인된 건 개인 회생과 관련된 문서 5,100여개, 4.7GB밖에 되지 않습니다.<br /><br />나머지 995GB의 자료는 서버 공간이 가득 차 수사가 시작되기 전 자동 삭제됐습니다.<br /><br />문제는 더 오랜 기간 해킹이 이뤄졌을 가능성이 크다는 점입니다.<br /><br />경찰이 확인한 법원 전산망 침입 시점은 2021년 1월.<br /><br />하지만 이땐 이미 해커가 전산망에 들어와 있는 상태였고, 그 이전 기록들은 삭제돼 최초 진입 시점은 확인되지 않고 있습니다.<br /><br /> "탐지가 오랜 기간 동안 안 됐다는 것이고, 중간 점검을 안 했거나 대충 했을 것 아니에요."<br /><br />사법부는 최소 2년간 해킹을 당했다는 사실조차 파악하지 못했습니다.<br /><br />수사 의뢰가 늦어져 피해를 키운 것 아니냐는 비판이 나오는 대목입니다.<br /><br />이에 대해 법원행정처는 "악성코드가 발견됐지만 유출 여부가 명확하지 않아 수사의뢰하기 어려웠다"고 설명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나경렬입니다. (intense@yna.co.kr)<br /><br />#라자루스 #법원 #해킹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