돌파구 못 찾는 의정 갈등…병원도 환자도 '한계 직면'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정부와 의료계는 100일째 대화조차 시작하지 못한 채 갈등을 이어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병원에 남은 의료진들이 한계에 부딪히며 환자들의 불안은 커지고 있는데요.<br /><br />대형병원도 경영난에 시달리며 파산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홍서현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전공의 이탈로 시작된 의정 갈등은 100일째 답보 상태입니다.<br /><br />정부의 복귀 호소에도 전국 수련병원에 근무 중인 전공의는 전체의 8% 수준에 그칩니다.<br /><br />의사들은 내년도 증원 절차를 멈추고 원점에서 재검토하자고 주장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정부는 원점 재검토는 비현실적이라며, 의사들이 통일된 숫자를 제시하면 증원 규모를 논의할 수 있다는 입장입니다.<br /><br />그 사이 환자 피해는 꾸준히 늘어 지난주까지 상담은 3천여 건, 그중 피해 신고는 약 740건으로 집계됐습니다.<br /><br />대학병원이 더 이상 신규환자를 받지 않으면서 환자들은 진료가 가능한 병원을 찾아 '뺑뺑이'를 돌고 있습니다.<br /><br /> "2차나 지역병원도 이미 포화 상태가 돼서, 환자들이 전국에 있는 병원들을 전화를 해서… 전국을 메뚜기처럼 뛰어다니는 그런 상황입니다."<br /><br />환자 감소로 진료 수익도 줄면서 대형병원은 매일 10억 원가량 적자가 쌓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병원들은 잇따라 비상경영을 선언하고, 병동 통폐합은 물론 직원들의 무급휴가 신청을 받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서울대병원은 500억 원이었던 마이너스 통장 한도를 두 배로 늘려 직원 월급을 주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병원을 지키고 있는 교수들은 이제 한계라면서도 전공의들이 돌아올 때까지 버티겠다는 입장입니다.<br /><br /> "(전공의들이) 다시 들어와서 제대로 수련해서 다시 멋진 신경외과 의사가 돼주겠다고 했거든요. 그래서 최대한 버텨보려고…."<br /><br />정부는 경영난을 겪는 수련병원에 일정 규모의 급여비를 미리 지급하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다만 의정 갈등이 지속될 경우 올여름이면 대형병원의 파산이 현실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홍서현입니다. (hsseo@yna.co.kr)<br /><br />[영상취재기자 : 신용희]<br /><br />#의정갈등 #환자 #병원 #한계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