땅속 MRI 찍는 '바다 위 연구소'…탐해3호 출항<br />[뉴스리뷰]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우리나라 자원 개발의 첨병, 물리탐사연구선 '탐해3호'가 공식 임무를 시작했습니다.<br /><br />기존 2호보다 규모가 더 커지고 탐사 능력도 높아졌는데요.<br /><br />앞으로 전 세계 해역에서 해저 자원탐사를 수행할 예정입니다.<br /><br />임하경 기자의 보도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바다를 누비며 해저 자원을 찾아나설 물리탐사연구선 '탐해3호'입니다.<br /><br />35종의 최첨단 탐사·연구 장비가 실려 '바다 위 연구소'로도 불립니다.<br /><br />지난 27년간 임무를 수행한 탐해2호가 오래돼 새로 만들었는데,<br /><br />규모는 6,800여 톤으로 3배나 커졌고, 핵심 장비인 탄성파를 수신하는 스트리머는 6줄 더 늘어났습니다.<br /><br />탐해3호에는 스트리머 8줄이 있습니다.<br /><br />이 스트리머를 장치에 걸어서 바다에 내린 뒤 해저 지질 정보를 파악하는 겁니다.<br /><br />바닷속에 탄성파를 쏜 뒤, 땅에서 반사되는 파동을 스트리머에 기록하는 방식입니다.<br /><br />한 번에 여의도 면적의 1.5배인 480㎢의 지질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 "(탐해2호보다) 4배 이상 빠르게 3D 탐사를 수행할 수 있고, 탐해 2호는 갈 수 없었던 대양이라든지 극지도 가서 탐사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."<br /><br />탐해3호는 '탄소중립'의 핵심인,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포집해 묻을 공간을 찾는 임무도 수행합니다.<br /><br />석유 같은 전통적인 에너지 자원은 물론 희토류 등 미래 자원도 탐사할 계획입니다.<br /><br /> "태평양 공해에 첨단 탐사선을 이용해서 희토류와 핵심 광물의 분포를 확인하고 나중에 (자원을) 개발해서 우리나라 핵심 광물의 공급망을 다변화하는 계기가 되었으면…."<br /><br />탐해3호는 우선 서해에서 지질 탐사를 시작하고, 오는 8월에는 이산화탄소 저장소를 찾는 첫 임무에 들어갑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임하경입니다. (limhakyung@yna.co.kr)<br /><br />[영상취재기자 : 박지용]<br /><br />#탐해3호 #물리탐사연구선 #지질자원연 #지질조사 #희토류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