AI 개발에 사활…이제는 '전력 확보'가 경쟁력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미래에는 인공지능 AI 운영에 천문학적인 전력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당장은 아니더라도 충분한 준비가 필요한데요.<br /><br />우리 전력수급체계에 대비가 돼 있는지 짚어봤습니다.<br /><br />최덕재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전력수급기본계획 총괄위원회는 2038년 국내 최대 전력수요를 129.3기가와트로 예상했습니다.<br /><br />지난해 하계 전력피크의 98.3GW보다 31GW나 늘어난 수요량입니다.<br /><br />인공지능 AI의 발전으로 인한 전력 수요 증가량이 2030년에 2023년보다 2배 넘게 늘 것이라는 전망 등을 반영한 거란 설명입니다.<br /><br /> "AI 데이터센터가 되면 지금 우리가 서치(검색)할 때마다 기존의 방식보다 10배 정도의 전력을 소모하기 때문에, 전력 소비량의 한 10%, 많으면 한 20% 정도가 AI 데이터센터 때문에 생기는 것이다 이렇게 이해를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."<br /><br />문제는 전력수요를 이전과 같은 방식으로 충족할 수 없단 점입니다.<br /><br />2050년까지 탄소중립 '넷제로'를 달성해야 하는데, 태양열이나 풍력 같은 신재생 에너지는 우리나라 지정학적 특성상 생산비용이 많이 들어갑니다.<br /><br />대안으로 2038년까지 원전 발전 비율을 35.6%로 늘린다는 계획을 내놨지만, 전문가들은 이마저도 부족하다고 합니다.<br /><br /> "최근에 AI라든지 이런 것들로 인해서 신규 수요가 창출되는 것이 있고, 산업과 국민적인 피해를 끼치지 않고 무탄소화를 하는 방법을 찾기 위해서는 신규 원전 건설이 최소한 두 자릿수 이상이 되어야…."<br /><br />챗GPT 개발사 오픈 AI는 소형모듈원전 SMR 개발에, 마이크로소프트는 재생에너지 개발에 천문학적 금액을 투자합니다.<br /><br />테슬라도 인도에 잉여 전력을 저장할 생산공장을 설립할 계획입니다.<br /><br />당장 우리나라가 AI 개발 때문에 전력난을 겪는 수준은 아니겠지만, 미래 국가 경쟁력을 좌우할 AI 개발 지원을 위해, 지금부터라도 전력 수요 등 대비가 필요합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최덕재입니다. (DJY@yna.co.kr)<br /><br />[영상편집 윤해남]<br /><br />#AI #전력난 #유비무환 #오픈AI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