농촌에선 49살도 청년…고령화로 청년 연령기준 높이는 지자체들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인구가 감소하면서 농촌에서는 청년 인구를 찾아보기 어려운데요.<br /><br />그래서 통상 39살까지인 청년의 기준을 40대 중후반으로 높이는 자치단체가 늘어나고 있다고 합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이로 인해 정작 청년 세대가 역차별을 받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옵니다.<br /><br />엄승현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인구 2만 4,500명가량인 전북 진안군.<br /><br />이 가운데 60세 이상 인구는 51.3%에 달합니다.<br /><br />읍내를 벗어나 마을로 가면 더욱 젊은 사람을 보기 힘듭니다.<br /><br /> "(청년이) 한 25명, 30명 정도 됐는데 지금은 없어요. 유독 우리 마을만 없는 게 아니고 시골이라고 하면 거의 없습니다."<br /><br />그러자 진안군은 청년 연령을 기존 39세에서 45세로 상향했습니다. 청년 지원을 하려고 해도 수혜자인 청년이 없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전국적으로 인구 감소가 심각해지고 고령화 문제도 커지면서 청년 나이에 대한 기준이 높아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전북의 경우 전주와 군산, 익산 등 도심 지역을 제외한 농촌지역에서 청년 연령을 45세 또는 49세로 상향했습니다.<br /><br />광역자치단체에서는 강원과 전남이 청년 연령을 45세로 높였습니다.<br /><br />청년 연령 상향을 두고 한정된 재원을 나눠야 하는 만큼 청년들이 소외당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.<br /><br /> "정말 청년 세대가 실질적으로 도움을 못 받는 경우가 있을 거고 결국에는 예산을 나눠 먹기 정도밖에 안 될 거라고 봐요."<br /><br />반면 인구 구조가 변화하고 중위 연령층도 높아진 만큼 청년에 대한 개념을 재논의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.<br /><br /> "수명이나 그리고 중장년의 건강 지수가 개선이 된 만큼 청년을 어떻게 개념화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가 다시 필요하다…."<br /><br />인구 감소의 또 다른 얼굴인 청년인구 소멸 문제. 이제 모두가 고민해야 할 과제가 됐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엄승현입니다. (esh@yna.co.kr)<br /><br />[영상취재기자 정경환]<br /><br />#청년 #고령화 #연령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