북한 오물 풍선 살포가 잠시 멈췄지만 언제 다시 시작될지 몰라 불안한 하루하루인데요. <br /> <br />접경 지역 주민들은 조업에 직접 피해를 볼 수 있는 상황이라 민감할 수밖에 없습니다. <br /> <br />서북 도서에 취재기자가 나가 있습니다. 양동훈 기자!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연평도 안보교육장 앞에 나와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지금 양 기자가 나가 있는 곳이 어딘가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제가 나와 이곳 연평도 안보교육장은 지난 2010년 연평도 포격 당시 피해를 본 집을 그대로 보존해 둔 곳입니다. <br /> <br />당시 이 집 지붕에 포탄이 떨어졌다고 하는데요. <br /> <br />천장이 완전히 무너져내리고, 벽돌로 쌓은 담장도 함께 파손된 흔적을 그대로 볼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안보교육장 근처에서 만난 주민은 연평도 주민들은 모두 불안을 안고 사는 것과 다름없다고 말하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연평도 북쪽에서 가장 가까운 북한 섬과는 고작 3㎞ 정도 거리, 육지와도 11㎞ 정도 거리밖에 안 됩니다. <br /> <br />워낙 가깝다 보니 북한군 등의 움직임을 직접 목격할 수도 있다고 하는데요. <br /> <br />지금은 안개가 짙게 내려앉은 상태라 맨눈으로 관측하기는 어렵습니다. <br /> <br />오늘 새벽 저희 취재진이 연평도를 둘러봤을 때는 안개가 훨씬 더 심했는데요. <br /> <br />보통 새벽 5시쯤 출항하는 어선들이 안개 때문에 허가가 나지 않아 항구에 발이 묶인 상황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해가 뜨면서 살짝 걷힌 안개에 평소보다 세 시간쯤 늦게 어민들이 바다로 떠났습니다. <br /> <br />7월 1일부터는 꽃게잡이 조업이 금지되기 때문에, 지금이 가장 중요한 '대목'입니다. <br /> <br />이달 초에는 북한의 GPS 교란 시도가 있어 어민들이 피해를 보기도 했는데요. <br /> <br />오늘처럼 안개가 심한 날 GPS마저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면 어구 위치를 정확히 찾을 수 없어 조업에 지장을 겪을 수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금은 GPS 교란은 멈췄다지만, 언제든 재개될 수 있다는 걱정에 어민들도 우려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금까지 연평도에서 YTN 양동훈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촬영기자:이동규 이근혁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양동훈 (yangdh01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40611102818202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