고금리 이어지나…한은 '기준금리 인하' 연내 쉽지 않을 듯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예상대로 미국이 기준금리를 또 동결했습니다.<br /><br />미국이 통화정책 전환에 신중한 태도를 보이면서 우리도 금리 인하가 더 늦어질 가능성이 커졌습니다.<br /><br />강은나래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기준 금리를 연 3.5%에 11차례 연속 묶어둔 한국은행.<br /><br />시장 기대감에도 인하는 일러야 4분기, 더 늦으면 내년에 가능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옵니다.<br /><br />미국 금리 인하 전망 시점이 당초 9월에서 11월 또는 12월로 늦춰진 데 따른 겁니다.<br /><br />최상목 부총리는 "미 금리 인하 불확실성이 계속되는 만큼 경계심을 갖고 관계기관이 긴밀히 공조할 것"을 당부했습니다.<br /><br />캐나다와 유럽중앙은행 등이 미국과 통화정책을 차별화하고 있지만, 한국이 금리 조기 인하 대열에 합류하기는 쉽지 않다는 지적입니다.<br /><br />미국보다 먼저 금리를 내리면 2%포인트인 역대급 금리차가 더 벌어지고, 이 경우 환율 급등과 외인 자금 이탈, 수입 물가 자극 등 부작용이 우려된다는 겁니다.<br /><br /> "외환위기를 경험했던 나라로써 우리나라의 물가 안정의 진전을 확인하고 미국의 금리 인하 이후에 금리 인하를 단행함으로써 여러 가지 불확실성을 갖고 싶지 않은…."<br /><br />한은도 신중한 태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소비자물가는 최근 두 달 연속 2% 후반대로 내려왔습니다.<br /><br />'인플레이션과의 싸움이 마지막 구간에 접어들었다'는 게 이창용 한은 총재의 표현입니다.<br /><br /> "물가가 목표 수준(2%)으로 수렴할 것이라는 확신이 들 때까지 인내심을 가지고 현재의 통화 긴축 기조를 충분히 유지할 필요가…."<br /><br />다만, 고금리 장기화에 따른 내수 부진은 부담 요인.<br /><br />한국개발연구원 KDI는 고금리가 지속되면 올해 소비는 0.4%포인트, 설비투자는 1.4%포인트 감소할 것으로 예측했습니다.<br /><br />물가 안정과 내수 확대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는 최선의 타이밍을 찾는 게 통화 정책 전환을 앞둔 한국은행의 최대 고민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강은나래입니다. (rae@yna.co.kr)<br /><br />#기준금리 #한국은행 #미국_연준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