중국, 북·러 우호관계 발전 환영?…밀착에는 경계심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중국 연결해 보겠습니다.<br /><br />오늘 서울에서는 한중 외교·국방 고위급이 만나는 '2+2' 대화도 있는데요.<br /><br />중국은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방북에 대해 어떤 입장을 내놨습니까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예, 중국은 북한과 러시아의 양자 교류에 대해서는 공식적으로 논평하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다만 러시아와 북한이 전통적 우호 관계를 공고히 하고 발전시키는 것은 환영한다고 말한 바 있는데요.<br /><br />이런 가운데 중국 민영매체인 차이신은 "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방북으로 북러 간 군사 관계가 과열되고 있다"고 진단했습니다.<br /><br />그러면서 "유사시 자동 군사개입 수준의 긴밀한 군사협력 관계를 구축하는 계기가 될까 우려스럽다"고 보도했는데요.<br /><br />당국을 의식해 중국 매체가 보도를 자제한 관례에 비춰볼 때 이례적이라는 평가입니다.<br /><br />일각에서는 중국 당국이 민간 매체를 통해 북한과 러시아 모두에 경계심을 표시한 것이라는 분석을 내놨는데요.<br /><br />중국은 북한과 러시아의 지나친 밀착이 자칫 신냉전을 초래할 수 있다는 데 우려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여기서 신냉전이란 미국을 중심으로 한 한국과 일본, 서방 등 동맹국과의 대결을 의미합니다.<br /><br />중국은 1961년 조중 우호조약을 통해 북한과 유사시 자동 군사개입 조약을 맺은 상태죠.<br /><br />북러 양국이 새 조약을 맺게 되면, 중국도 함께 엮이게 되는 구조가 되면서, 북중러 구도 속에 서방의 공격을 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이런 가운데 서울에서는 외교·국방 고위당국자들이 참여하는 '2+2' 대화가 열리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중국은 이번 대화가 다른 국가와 특별한 관련이 없다고 선을 그었지만, 북한과 러시아가 밀착하는 것에 대해서는 경계하는 눈치입니다.<br /><br />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방북에 맞춰 '2+2' 회의가 열리는 것 자체가 그에 대한 방증이란 얘기입니다.<br /><br /> "이번 대화에서 중국은 양국 관계를 발전시키고 개선하는 방안에 대해 한국 측과 의견을 교환할 예정입니다. 다양한 분야에서 양국 교류와 협력을 심화하며, 공통 관심사인 국제 및 지역 문제에 대해 필요한 소통을 하는 데 중점을 둘 것입니다."<br /><br />중국은 최근 스위스에서 열린 우크라이나 평화 회담에도 불참했습니다.<br /><br />별도의 당사자들이 포함된 회의체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내놓으면서 한 발 물러선 모양새입니다.<br /><br />중국은 미국과 전략경쟁이 가열될수록 유럽 각국과의 관계가 중요하다는 점을 인식하고 있는데요.<br /><br />중국은 핵심 이익과 관련해서는 미국과 충돌하고 있지만, 미국과의 관계는 안정적 관리에 힘쓰고 있죠.<br /><br />북한이 우크라이나에 무기를 제공하는 상황에서 북중러가 하나로 엮이는 것에 대해 부담을 가지고 있는 겁니다.<br /><br />여기다 러시아가 북한에 미사일 관련 첨단기술을 전달할 가능성도 중국에는 불편한 상황이 됩니다.<br /><br />중국 입장에서는 관련 기술을 전수받을 경우 북한이 더욱 도발적으로 나올 가능성이 있는데, 한반도 상황을 관리하고 싶은 중국에는 부담 요인이 될 수밖에 없습니다.<br /><br />중국은 북러 정상회담에 암묵적 메시지를 전달하면서 북중 간 거래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넘어가지 않도록 관리하는 데 주안점을 둘 것이란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베이징에서 전해드렸습니다. (baesj@yna.co.kr)<br /><br />#中외교부 #북러정상회담 #푸틴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