여 "충성경쟁", 야 "외압규명"…특검법 갈등 속 원구성 협상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해병대원 특검법이 발의 22일 만에 국회 법사위 문턱을 속전속결로 통과했습니다.<br /><br />야당 단독으로 처리된 만큼 정치권의 반응은 극명하게 갈렸는데요.<br /><br />후폭풍이 가라앉지 않는 가운데, 여야 간 원 구성 협상은 아직도 교착 상태입니다.<br /><br />이다현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12시간 가량 이어진 해병대원 특검법 입법 청문회, 역시 여야의 평가는 엇갈렸습니다.<br /><br />더불어민주당은 일부 증인이 선서나 증언을 거부한 것을 두고 "간접적이지만 스스로 죄가 있다고 자백한 셈"이라고 규정했습니다.<br /><br />또 신범철 전 국방부 차관과 유재은 국방부 법무관리관의 증언을 근거로 '대통령 개입설'에 더욱 힘이 실린 것으로 평가했습니다.<br /><br /> "대통령의 직접적인 개입과 대통령실의 외압이 있었다는 증언이었습니다. 이제 수사로 밝혀야 합니다."<br /><br />국민의힘은 독소 조항이 있는 특검법을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입니다.<br /><br />특히 "통과된 특검법안에는 특검 후보자를 민주당과 조국혁신당이 1명씩 추천하게 돼 있다"고 문제 삼았습니다.<br /><br /> "졸속으로 법사위 통과시켜 놓고 또 단독으로 밀어붙이겠다라는 것은 이재명 대표를 향한 충성 경쟁이고 차기 대선 집권을 위한 그런 노림수 이외에 아무것도 아니다…."<br /><br />하지만 민주당은 7월 4일까지 이어지는 6월 임시국회 안에 해병대원 특검법을 통과시키겠다는 방침입니다.<br /><br />이 밖에도 김건희 여사 특검법을 비롯해 유전 개발 의혹과 서울-양평 고속도로 의혹 등 4개의 국정조사도 밀어붙일 태세입니다.<br /><br />민주당의 압박에 맞서 국민의힘은 상임위 일정을 보이콧하며 자체 특위를 가동 중이지만, 소수 의석이란 한계로 뾰족한 대응책이 없어 사실상 대통령의 재의요구권 행사에 기댈 수밖에 없는 상황입니다.<br /><br />대치 정국이 이어지면서 여야의 원 구성 협상도 꽉 막힌 상태에 머물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앞서 국회의장이 제시한 협상 시한은 이번 주말까지입니다.<br /><br />시간이 얼마 남지 않은 가운데 여야 원내대표는 일요일 오후 회동해 막판 줄다리기를 할 예정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이다현입니다. (ok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